애플과 현대차·기아의 협업 여부가 국내외에서 연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을 위한 양사의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해외 언론 보도까지 나오면서 ‘애플카’ 협력설은 점점 구체화하고 있다. 조만간 있을 기아의 인베스터데이(Investor Day) 행사에서 구체적인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3일(현지시간) “현대차·기아와 애플이 자율주행 전기차 생산을 위한 최종 계약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CNBC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조지아주의 기아 조립공장에서 2024년부터 애플카 생산에 돌입할 것이며, 최종 출시 시점은 미뤄질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양사가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만큼 애플이 다른 완성차 업체와 협력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애플과 현대차·기아는 매체 측에 답변을 거부한 상태다.
전날에는 궈밍치 대만 톈펑(TF)증권 연구원이 보고서를 통해 애플과 현대차그룹이 협력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놨다. 그는 “애플이 현대차 전기차 플랫폼인 E-GMP를 탑재하고 현대모비스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기아의 미국 생산라인을 통해 애플카를 생산할 것”이라며 “애플은 기존 자동차 제조사의 자원을 활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아 측은 “결정된 바 없다”고 말을 아꼈지만 애플이 이달 중 기아와 애플카 생산을 위한 정식 계약을 맺고 전용 설비 구축, 차량 개발 등을 위해 4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거라는 관측까지 제기됐다.
애플은 현재 자사 소프트웨어를 탑재하면서 하드웨어의 통제까지 허용해주는 완성차 업체와 협업을 원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이유로 자동차 업계에선 세계 최고의 IT 기술을 보유한 애플과의 협업이 전기차나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을 극대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지만 단순 위탁생산으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 애플은 자동차 인재 수혈에 나서며 애플카 생산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전날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말 차체 개발 전문가로 알려진 만프레드 해러 전 포르쉐 부사장을 영입했다. 앞서 애플은 스튜어트 바워스 전 테슬라 부사장, 조너선 시브 전 테슬라 차량 엔지니어 등을 애플카 팀에 합류시키기도 했다.
애플카가 운전자 없이 작동하면서 음식 배달이나 로보택시 등에 활용될 거라는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이는 자율주행 기술과 전기차를 넘어 로봇,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두루 관심을 보여온 현대차그룹을 애플이 파트너로 낙점한 이유로도 거론된다.
기아는 오는 9일 온라인을 통해 투자자 대상 CEO 인베스터데이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아가 브랜드 자체 중장기 미래 전략과 재무 목표 등을 새롭게 공개하는 행사인 만큼 애플카 협업 관련 입장이 나올지 주목된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