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지역 혁신성장 거점 ‘IP중점대학’ 설립한다

입력 2021-02-04 04:06
지역 혁신기업의 성장과 지식재산(IP)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체계가 도입된다.

특허청은 지방의 지식재산 전문인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IP중점대학’을 신설한다고 3일 밝혔다.

최근 지식재산 금융시장 규모가 1조원을 돌파하며 지식재산권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전문인력 수요에 비해 공급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2019년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관·기업의 IP전문인력 부족인원 및 부족률은 IP빅데이터 555명(20.7%), IP금융 1375명(19.4%), IP경영 2743명(30.6%)에 달했다.

지방의 경우 IP인력 수급이 더욱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특허청 조사 결과 기업 당 IP인력의 수요는 수도권 0.34명, 지방 0.38명으로 지방이 다소 높았다. 반면 IP인력의 분포율은 수도권 58.6%, 지방 41.4%으로 수도권이 월등히 높았다.

특허청은 IP중점대학을 통해 지방의 지식재산 전문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한다는 복안이다.

먼저 교육부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지역혁신플랫폼)’과 연계해 사업에 선정된 지역의 총괄대학을 IP중점대학으로 선정한다.

IP중점대학의 학부과정에는 경영학·공학·통계학 등과 지식재산을 결합한 융합전공과정이 도입된다. 학부생의 경우 단독 IP전공보다 다른 전공과 결합한 융합전공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

대학원에는 지역 핵심산업과 지식재산을 접목한 융합전공을 우선적으로 운영하고, 향후 IP경영·IP금융·IP빅데이터 등 지식재산 분야별 학과 신설을 추진한다.

IP중점대학에 구축된 지식재산교육체계는 지역혁신플랫폼을 통해 다른 대학과 기업·기관으로 확대된다.

지식재산 학위과정은 권역별 특성에 따라 학점교류, 공동교육과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대학과 공유할 수 있다. 또 지역 핵심산업분야와 관련된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특허 R&D전략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역에서의 연계 교육도 가능하다.

IP중점대학은 올해 3개 지역을 시작으로 2025년 10개 지역까지 확대된다. 대학당 지원기간은 기본 5년, 연장평가를 통해 추가로 5년(3+2)까지 가능하다.

박호형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IP중점대학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지식재산 교육 체계가 지역에 구축될 것”이라며 “우수한 인재들이 지역기업으로 진출해 지역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