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이 경남 지역의 정보화 혁신 도구로 활용된다.
경남도는 2일 지역 정보화 기본계획 완료 보고회를 개최하고 ‘2025년 경남 디지털 대전환으로 도민이 행복하고 혁신성장 실현’의 비전을 제시했다.
경남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비대면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이 큰 화두로 떠오르면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와이파이 통신망 구축 등을 반영한 지능형 디지털 활용, 정보통신기술(ICT)융합, 행정혁신 삼박자를 목표로 9개 전략 33개 미래 모델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도민행복 서비스 분야 11개 모델 1224억원’ ‘정보통신기술 융합 디지털 조성 분야 13개 모델 4051억원’ ‘행정혁신 지능형 행정서비스 9개 모델 551억원’ 등으로 총 5826억원(국비 1469억원, 도시군비 4357억원)을 투자한다.
특히 ‘광역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은 이미 구축된 시군 버스정보시스템(BIS)을 동남권 광역 버스정보 시스템으로 더욱 확대해 동남권 메가시티 교통망을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또 기업·대학·공공이 참여해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 등 정보통신기술 전문인력을 5년간 7000명 이상 양성한다. 급격하게 지능정보사회로 진입하는 기업과 산업현장에 필요한 디지털 혁신 미래인재를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행정 내부에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CCTV 도시안전망 플랫폼과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도입해 인구이동에 따른 상권분석, 체류형 관광 분석을 제공한다. 아울러 경찰청 112와 안전신고센터 119를 연계해 아동보호, 재난관리 등 사회적 서비스가 더욱 강화된 도시안전망을 구축한다.
하병필 행정부지사는 “지금까지 정보화를 행정은 중앙 표준식으로, 기업과 소상공인은 독자적·산발적으로 추진해왔다”면서 “이번에 수립되는 정보화 기본계획이 우리 도의 정보화 수준을 한층 높이고 도민의 행복과 혁신성장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