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민주화운동의 상징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과 그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은 2015년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고 문민정부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미얀마의 문민정부는 구조적으로 취약했다. 군부와의 위험한 권력 공유가 결국 이번 사태를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53년간 미얀마를 통치했던 군부는 문민정부를 허용하면서도 실제론 권력을 다 내려놓지 않았다. 군부가 2008년 만든 헌법에 따라 전체 의석(664석) 중 25%는 군부에 미리 배정된다. 이는 군부의 동의 없이는 개헌선(국회 의석 75%)을 확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정부에서도 국방부, 내무부, 국경부 3개 치안부서의 장관 인사권을 군부가 가진다.
2015년 총선 당시 NLD가 확보한 의석은 390석(59%)으로 과반을 넘겼다. NLD는 지난해 11월 8일 실시된 총선에서는 이보다 6석을 더 얻었다. 국민은 ‘문민정부 2기’에 대한 신임을 확실하게 표시한 것이다.
그러나 두 번의 총선에서 완패한 군부는 이번 선거 직후 부정선거 의혹을 꾸준히 제기했다. 급기야 지난 26일에는 쿠데타 가능성을 시사했다. 군부 대변인인 조 민 툰 소장은 부정선거 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군부가 정권을 잡을 것이라고 말하지 않겠지만, 정권을 잡지 않을 것이라고도 말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군부 일인자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튿날 “특정 상황에서는 헌법이 폐지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유엔 등 국제사회의 우려에 군부는 지난 30일 “헌법을 준수하겠다”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틀 후 전격적으로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