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혁신 성장의 기둥인 청년이 머물고 돌아올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한 ‘청년특별도’를 올해 본격 추진한다.
경남도는 28일 경남도 청년정책위원회를 열어 ‘2021년 경남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수립한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경남의 사정에 맞게 구체화한 것이다.
회의에는 공동위원장인 진형익 전국청년네트워크 대표와 김경수 지사, 경남도 의원, 경남도 관계 공무원, 청년 및 전문가 등 위원들이 참석했다.
경남도의 올해 청년정책은 일자리와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131개 과제로 향후 5년간 5382억 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은 일자리 분야에 청년 일자리 확대 및 역량강화, 청년 창업 활성화 및 내실화, 주거분야에 청년 주택 공급 확대, 청년 전월세 비용 경감 등이다. 또 교육분야에 고른 교육기회 보장, 청년의 미래 역량 강화, 복지·문화 분야에 사회출발자산 형성 및 재기 지원, 문화가 있는 청년의 삶(23개) 등도 추진한다.
도는 청년정책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이달 초 조직개편 때 ‘청년정책추진단’을 도지사 직속부서로 전환했다. 기존 행정이 주도하던 일자리 중심 청년정책의 틀에서 벗어나 청년문제 전반으로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정책수단을 다양화할 계획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정책 수요자인 청년들의 의견을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청년들이 정책과정 전반에 직접 참여하는 체계를 마련했다”며 “현실적인 청년 정책으로 경남에 청년들이 머물고 돌아올 수 있도록 청년특별도의 기반을 확실하게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