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지역 ‘사회서비스 컨트롤 타워’ 문 열었다

입력 2021-01-28 04:05

대전지역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책임성 강화를 위한 ‘대전시 사회서비스원’이 27일 문을 열었다.

대전시청 시민홀에서 열린 개원식(사진) 행사는 허태정 대전시장과 박인석 보건복지부 사회복지 정책실장, 유미 대전사회서비스원장 등이 참석했으며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됐다.

대전복지재단의 기능을 확대·개편한 대전사회서비스원은 사회서비스 분야 종사자의 처우 개선과 운영의 투명성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앞으로 대전의 복지정책 연구와 사회서비스 제공을 동시에 수행하는 지역 복지정책·지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다. 서비스원 본부는 1실 4부, 지난해까지 12개였던 직영시설은 오는 2025년까지 52개로 확대된다.

주요 업무는 국·공립 시설 수탁 및 운영, 종합재가센터 설치, 민간기관 품질관리 지원, 정책연구 추진, 지역사회 돌봄체계 구축·지원 등이다.

이중 국·공립 시설의 수는 2025년까지 노인요양시설 3개소, 국·공립 어린이집은 21개소, 공공센터는 20개소 등 총 44개소로 늘린다.

5개 자치구에 각각 설치되는 종합재가센터는 각종 돌봄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제공 예정인 서비스는 장기요양(방문요양), 노인맞춤돌봄·장애인활동보조·가사간병 등 바우처 사업이다.

시는 각 사회복지시설을 직접 운영해 공공성·전문성이 강화되고, 종사자 처우 개선에 따른 서비스 품질 향상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민관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재무·회계·법무·노무 등에 대한 상담 및 자문, 시설 대체인력 및 안전점검 지원, 종사자 교육, 표준운영 매뉴얼 등도 제공한다. 또 대전시 복지정책 및 사회서비스 표준모델개발, 시설컨설팅·대체인력지원·시설안전점검 등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강화 등의 업무도 담당한다.

양성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정부는 내년까지 17개 시도에 사회서비스원 설립을 추진한다”며 “자치구와의 협력 및 탄탄한 로드맵 등을 통한 발전이 기대된다”고 축하했다.

권중순 대전시의회 의장은 “대전사회서비스원이 복지의 중추적 역할을 맡아 시민복지가 한층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 사회서비스원이 본격 출범하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지역의 돌봄 수요와 서비스 제공의 연계체계 구축, 대전의 중장기 복지정책 로드맵 수립, 국공립시설 및 종합재가센터 운영의 체계화, 종사자 처우개선에 더욱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