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지난해 -1% 성장률을 기록했다. 우리 경제가 뒷걸음친 건 22년 만의 일이지만, 세계 경제를 덮친 코로나19 격랑 속에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보다 1.0% 감소(속보치)했다고 26일 발표했다.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이후 처음이다.
한은은 “정부소비가 전년 대비 5.0% 증가하고 설비투자가 6.8% 증가로 전환했으나 민간소비(-5.0%)와 수출(-2.5%)이 감소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내수와 수출 모두 코로나19에 발목이 잡힌 상황에서 정부가 재정 지출을 늘려 충격을 줄였다는 뜻이다. 주체별 성장률 기여도를 봐도 민간이 성장률 2.0% 포인트를 끌어내린 반면 정부는 1.0% 포인트 올려놓은 것으로 나왔다.
경제성장률이 한은의 지난해 11월 전망치(-1.1%)를 웃돈 것은 4분기의 선전 덕이다. 1분기 -1.3%, 2분기 -3.2%까지 고꾸라졌던 성장률은 3분기에 2.1% 반등한 데 이어 4분기에 1.1%로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이는 수출이 9월을 기점으로 확연히 회복된 영향이 크다. 4분기에도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의 호조에 힘입어 5.2% 증가했다. 여기에 건물·토목 등의 건설투자가 6.5% 늘면서 뒤를 받쳤다.
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여파로 민간소비는 4분기 들어 다시 위축됐다. 서비스(음식숙박·운수 등)와 재화(음식료품 등)가 모두 줄면서 1.7% 감소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식당 카페 오락문화시설 운수 등 대면 서비스 소비가 크게 위축됐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1% 성장률을 “선방”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장기화하는 내수 부진과 그에 따른 민생의 어려움은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고 했다.
국민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19년 3만2115달러보다 다소 줄어든 3만1000달러대를 나타낼 것으로 한은은 예상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