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의 군사시설보호구역이 전국 최대 규모로 해제돼 시의 각종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고양시는 덕양구 오금동·내유동·대자동·고양동 일대와 일산서구 덕이동 일대, 일산동구 성석동·문봉동·식사동·사리현동 일대 등 총 572만5710㎡(축구장 802개 규모)의 군사시설보호구역이 해제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는 지난 14일 발표된 국방부의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군사시설 계획’에 따른 것이다. 전국의 비행안전구역 85.6㎢과 제한보호구역 14.9㎢ 등이 포함됐다. 특히 이번에 해제된 제한보호구역 14.9㎢ 중 고양시가 3분의 1에 해당하는 572만5710㎡를 차지했다.
지금까지 고양시는 전체 면적의 약 40%인 105.4㎢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었다. 군사시설보호구역은 군부대와 협의를 해야만 건축행위가 가능해 건축이나 개발 등의 인·허가를 위해서 사전에 군과 협의를 반드시 거쳐야 했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지역 간 균형을 위한 계획적인 지역개발, 주민들의 불편 및 피해 해결 등을 위해 관할 부대와 정기적인 회의를 개최하는 등 긴밀한 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2018년 12월 1761만㎡의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 2019년 1월 비행안전구역(4구역) 행정위탁 체결, 지난해 1월 430만㎡ 해제 등에 이어 올해 572만5710㎡의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평화통일특별시를 지향하는 고양시의 위상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도록 노력해준 관할 군부대와 국방부에 감사를 드린다”면서 “이번 결정으로 그간 불편을 감수해온 고양시민들이 자신들의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고, 우리 시의 지역 균형발전을 저해하던 과도한 규제의 벽도 상당 부분 해소되리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에 전북 군산 일대의 비행안전구역 85.6㎢이 해제된 것을 언급하며 “수색비행장 인근 지역을 고양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할 수 있도록 군부대 및 관련 부처와 의견 교환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축구장 802개 면적, 고양시 군사시설보호구역 풀려
입력 2021-01-26 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