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재무 지명자, 무증세 재정 확대 기조 천명

입력 2021-01-21 04:05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초대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재닛 옐런(사진) 전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19일(현지시간)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무증세 재정 확대 기조를 밝혔다. 국가부채 관리보다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는 일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옐런 지명자는 이날 열린 상원 금융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적극적인 재정 지출을 통한 경기 부양 의지를 강조했다. 역사상 최저점을 기록 중인 금리가 당분간 낮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 부채가 늘더라도 대범하게 경기 부양에 나서야 할 때라는 설명이다.

옐런 지명자는 바이든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밝힌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적극 지지했다. 그는 “미흡한 경기부양책이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더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인들이 양질의 일자리와 보수를 기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경제를 만드는 일이 재무장관으로서 주요 목표”라고 말했다. 옐런 지명자가 경기 부양 의지를 밝힌 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상승 마감했다.

다만 옐런 지명자는 경기 부양을 위한 증세는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견지했던 대기업과 고소득자에 대한 감세 정책을 일부 조정할 수는 있지만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추가 증세는 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옐런 지명자는 또 인위적으로 달러 약세를 추구하지 않겠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나는 시장이 결정하는 환율을 신봉한다”며 “미국은 경쟁 우위를 얻기 위해 약달러를 추구하지 않으며 다른 나라가 그렇게 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도 반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옐런 지명자의 이날 발언은 ‘강한 달러’로의 복귀를 시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옐런 지명자는 대중 정책과 관련해선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중국을 ‘끔찍한 인권침해의 책임을 진 나라’로 지목하며 “중국은 불법 보조금과 덤핑, 지식재산권 도둑질, 무역장벽 등을 동원해 미국 기업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