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기업 넷플릭스 전체 가입자가 지난해 2억 명을 돌파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증가한 ‘집콕족’이 성장의 촉매가 됐다.
미국 경제 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는 19일(현지시간) 지난해 말 기준 넷플릭스 전체 가입자 수는 2억370만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2017년 3분기 1억 명을 넘어선 후 3년여 만에 2배로 껑충 뛰었다. 4분기에만 850만 명이 늘었다는 점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가 넷플릭스의 성장을 견인했다. 바깥 생활에 제약이 걸렸던 지난해 1년 동안 늘어난 가입자는 3700만명으로 사상 최대치다. 코로나19는 OTT 산업 전반의 성장을 이끌었다. ‘디즈니 플러스’와 ‘HBO 맥스’ 등 세계적인 OTT 대다수의 가입자가 늘었다.
작년 4분기 기준 넷플릭스 가입자 증가 수를 분석해보면, 유럽·중동·아프리카는 450만 명, 아시아 200만명, 남미 120만 명, 북미 86만 명이었다. 아시아 지역 선전에는 한국 콘텐츠가 큰 역할을 했다. 넷플릭스는 K드라마 활약에 날개를 달아 주기 위해 2015년 이후 한국 콘텐츠에 약 7700억원을 투자했다. 지난해 한국 콘텐츠를 위한 새로운 법인을 세웠고, 올해 초에는 경기도 파주시와 연천군에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말 선보인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 ‘스위트홈’의 역할이 큰 것으로 봤다. 한국 드라마에서는 드물었던 크리처물로 전 세계 시청자의 취향을 관통했다. 공개 후 첫 4주 동안 전 세계 2200만 유료 구독 가구가 시청했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넘어 전 세계가 함께 이야기할 거리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코로나 집콕족’ 덕에 넷플릭스 가입자 2억명 돌파
입력 2021-01-21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