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이커머스업계는 격동의 한 해를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시장 성장에 가속도가 붙은 데다 선두 그룹에서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면서다. 쿠팡의 나스닥 상장 가능성이 제기되고 이베이코리아는 매각설이 돌고 있다. 세계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아마존으로부터 투자가 성사된 11번가도 주목받고 있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145조1211억원에 이르렀다. 2019년 한 해 거래액(134조5830억원)을 11개월 만에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해 11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월 단위로 역대 최고액인 15조631억원을 기록했다. 업계에선 지난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160조원 안팎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경쟁도 치열해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배송을 강화하고 멤버십 회원을 늘리며 몸집을 키우는 데 힘을 쏟았다면, 올해는 주식시장 상장 또는 인수·합병(M&A)을 통한 시장 선점에 초점이 맞춰졌다. 기업 가치를 평가받고, 그동안의 투자 결실을 보겠다는 계획이다.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곳은 나스닥 상장을 노리는 쿠팡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쿠팡의 나스닥 상장 가능성을 보도했다. 쿠팡의 기업가치를 약 300억 달러(32조원) 이상으로 추산하면서 올해 2분기 나스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에는 쿠팡이 이미 나스닥 IPO를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베이코리아는 2018년부터 매각설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에도 투자은행(IB)업계에서 ‘5조원 매각설’이 제기됐다. 이베이코리아는 공식적으로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거래 규모 약 18조원에 이르는 이베이코리아는 이커머스업계에서 유일하게 15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렇다 할 강점을 보여주지 못하며 성장이 정체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이 지분 투자를 하기로 한 11번가도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11번가는 아마존과 어떤 방식으로 협업을 진행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해외 직구 대신 11번가를 통해 아마존 거래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11번가도 흑자 전환을 통해 IPO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티몬도 국내에서 IPO를 준비 중이다. 후발주자인 SSG닷컴과 롯데온은 신선식품 장보기와 온·오프라인 시너지를 중심으로 성장을 이뤄가겠다는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는 앞으로 더 치고 나가는 회사와 정체돼 밀려나는 회사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