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일 신임 주일대사는 17일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도쿄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위해 필요하면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말씀을 했다”며 “(문 대통령은)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를 만나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싶다는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22일 일본에 부임하는 강 대사는 서울 서초구 역사디자인연구소에서 열린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이 한·일 관계 정상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가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사는 간담회에서 “한·일 관계 정상화와 양국 협력체제 강화를 위해 애써 달라는 문 대통령의 당부가 있었다”면서 “이런 당부 말씀을 (스가 총리에게) 전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대사는 일본 입국 후 2주의 자가격리를 마친 뒤 스가 총리를 만난다.
강 대사는 위안부 피해자 배상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다는 우리 법원 판단과 관련한 일본 정부의 움직임에 대해 ‘제3국 중재’ 가능성을 열어놨다. 그는 “일본이 (국제사법재판소 제소를) 확실히 이야기한 것이 아니고 언론을 통해 제소 이야기가 있을 따름”이라며 “한·일 협정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제3국에 중재를 맡길 수 있는 조항도 있다. 만약 응하게 된다면 여기에 응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양쪽 당사국의 동의가 있어야 국제사법재판소(ICJ) 소송이 성립된다는 조항을 들며 “재판에 응할 의무가 없다”고 했다.
강 대사는 “강제징용 문제는 개인이 일본 민간 기업을 상대로 민사 재판으로 제소한 사건”이라며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 체제가 유효하고 이를 엄중히 지키고 있다”고 역설했다.
화해치유재단 해산 등을 통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파기했다는 지적과 관련해서도 그는 “재단 인사들이 사표를 내면서 재단이 저절로 없어진 것이고, (일본이 내놓은 합의금) 100억여원 중 일부는 은행에 보관돼 있다”며 “정부는 ‘최종적’ ‘불가역적’이란 용어에 한 번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