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블랙홀’ 대응, 영남 ‘그랜드 메가시티’ 구체화 착수

입력 2021-01-18 04:03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영남권 5개 시·도가 수도권에 상응하는 ‘그랜드 메가시티’를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 마련에 나선다.

부산시는 5개 시·도와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연구원과 함께 ‘영남권 발전방안 공동연구’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영남권 5개 시·도는 지난해 7월 부산에서 열린 국민일보 주최 ‘2020 영남미래포럼’을 계기로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를 발족했다. 협의회 발족은 수도권 일극 체계를 극복하고 지역 주도의 국가 균형 발전이 필요하다는 포럼 주제에 공감한 영남권 5개 시·도지사의 후속 조치였다.

미래발전협의회는 시도지사 간담회와 실무협의회를 개최한 데 이어 ‘영남권 광역 교통망 구축방안’ ‘영남권 안전한 물 관리 체계 구축 방안’ ‘낙동강 역사문화 관광벨트 조성’ 등 현안 과제를 연구원 협력 과제로 합의·추진하는 등 단순 협의의 기능을 넘어서 실질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해 왔다.

영남권 발전방안 공동연구는 이런 노력의 하나로, 영남권 5개 시·도가 4개 연구원에 위탁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공동연구를 위해 5개 시·도는 각 5000만원을 분담해 총사업비 2억5000만 원을 투입해, 오는 8월까지 연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주요 연구 내용은 ‘광역교통·역사문화관광·환경·한국판 뉴딜 등 분야별 당면현안 검토 및 영남권의 공동대응이 필요한 분야별 발전 방향 제시’ ‘영남권의 목표 제시 및 발전전략 수립’ ‘분야별 발전전략·핵심과제·초광역 협력 프로젝트 사업 제시 등 분야별 실행계획 수립’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영남권 광역 행정권 구축방안 마련’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영남권 5개 시·도는 ‘영남권 발전방안 공동연구’가 마무리되면 연구에서 도출된 분야별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수도권 블랙홀 현상이 지속하면 국가와 지방의 미래가 없다”면서 “영남권이 하나의 생활권이자 경제권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도 “공동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야별 사업까지 추진하게 되면 영남권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