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를 장악한 민주당이 의사당 폭동 사태의 책임을 물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시도는 2019년 말 ‘우크라이나 스캔들’ 이후 두 번째다. 미국 대통령으로 재임 중 두 차례나 탄핵에 직면한 경우는 트럼프가 유일하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CNN 등에 따르면 미 민주당은 오는 11일 하원에 트럼프 탄핵소추안을 상정하고 다음 주 중 표결 일정을 잡을 예정이다. 지난 6일 사상 초유의 의사당 난동 사건의 책임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다.
탄핵 사유는 대선 결과 인증을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지지자들에게 폭력과 반란을 선동한 혐의다. CNN은 탄핵안에 ‘반란 선동’ 조항이 들어갔다고 전했다. 탄핵안 초안 작성을 주도한 테드 리우 민주당 하원의원은 트위터에 이날 오후까지 180명의 하원의원이 탄핵안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오는 20일 임기가 종료되는 트럼프 대통령이 남은 열흘 안에 탄핵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탄핵을 위해서는 하원 과반, 상원 3분의 2의 찬성이 필요하다.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하원에서는 무난한 통과가 예상되지만 상원이 문제다. 민주당과 공화당이 상원에서 각각 50석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탄핵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공화당에서 최소 17명의 이탈표가 나와야 한다.
일정도 촉박하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지난 8일 같은 당 의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휴회 중인 상원을 오는 19일까지 재소집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20일 트럼프 대통령 퇴임 전까지 실질적 업무를 위한 상원 회의 개최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종료 후 탄핵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미국에서는 공직자의 임기 종료 후에도 탄핵이 가능하다. 상원에서 탄핵안이 가결되면 상원은 탄핵된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는 공직을 맡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투표를 부칠 수 있다. 탄핵안과는 달리 과반의 동의만 얻어도 트럼프의 ‘영원한 불출마’가 가능해진다.
트럼프 대통령이 2024년 재출마를 강력히 시사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시나리오는 민주당은 물론이고 차기를 꿈꾸는 공화당 주자에게도 매력적인 카드라고 NYT는 전했다. 탄핵이 두 차례 추진된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를 부각시키는 동시에 트럼프의 퇴임 후 정치 행보에 실질적으로 타격을 입힐 수 있는 정치적 포석이라는 의미다.
의사당 폭동 사태로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 위기에 몰렸지만 트럼프 열성 지지자들은 또다시 대규모 시위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WP) 등은 이날 극성 트럼프 지지자들이 20일 조 바이든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식 당일이나 임박한 시점에 세력 과시를 위한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취임식 당일 수도 워싱턴DC에서 ‘100만 민병대 행진’을 벌이자는 제안, 취임식 전 마지막 주말인 17일 연방의회와 주의회로 무장 행진하자는 제안 등이 지속적으로 온라인에 올라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현재 의사당 난동 사태 참가자들이 의원이나 보좌진을 살해하거나 억류하려는 계획을 세웠는지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