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원 SK네트웍스 회장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살펴온 검찰이 자사주 취득을 통한 시세조종 범행을 의심하고 최근 강제수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SK네트웍스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 3일 만에 최 회장을 불러 조사하는 등 수사 속도를 높이고 있다.
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전준철)는 지난 4일 SK네트웍스 본사에 수사 인력을 보내 SK네트웍스의 지난해 자사주 취득과 관련한 이사회 결정 및 회계자료를 확보했다. 검찰은 SK네트웍스가 지난해 3~6월 자사주 221만여주를 1134억여원에 취득한 것이 인위적 주가 상승, 경영진의 부당한 시세차익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의 추가 압수수색은 지난해 10월 최 회장의 비자금 조성 및 국외재산도피 의혹을 겨냥해 SKC, SK텔레시스 등을 압수수색 한 지 3개월 만이다.
SK네트웍스는 지난해 3월 5일부터 6월 4일까지 자사 보통주 220만주, 우선주 1만500주를 장내 매수했다. 3월 4일 SK네트웍스 이사회가 ‘주가 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자사주 취득을 의결한 데 따른 것이었다. SK네트웍스가 자사주 취득 결정을 공개한 뒤 주가는 상승했다. 종가 기준 지난해 3월 2일 4370원이던 주가는 4월 27일 5680원까지 올랐다. 이는 지난해 3월 이후 현재까지 최고가로 남아 있다. 검찰의 추가 압수수색은 이 주가 상승이 최 회장의 이익을 위한 인위적인 주가 방어라는 혐의를 포착한 결과로 풀이된다.
검찰은 이날 최 회장을 불러 조사했다. 업계에서는 “새해 첫 근무일 압수수색도 충격적이었지만 압수수색 3일 만의 소환조사도 이례적이다”는 말이 나왔다. 주가조작 의혹으로까지 수사 전선이 확대된 이번 사건은 ‘이성윤표 1호 대기업 수사’로 꼽혔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자료 이첩에서 시작된 최 회장의 횡령, 국외재산도피 등 의혹도 상당 부분 수사가 진척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르면 이달 중 최 회장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