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사진) 경남지사가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동남권메가시티구축’ ‘청년특별도’ ‘교육인재특별도’를 새해 도정 핵심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비수도권이 살아남기 위해선 동남권이 1시간 광역생활권으로 묶여야 되고, ‘풀뿌리’ 고급 청년인력이 지역기업에 공급돼야 ‘지방 소멸’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김 지사는 6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기반구축, 1시간 생활권 동남권 광역교통망 구축, 동남권 공동협력사업 추진, 서부경남발전 연계 추진, 동남권특별연합 구성을 2021년 첫 번째 중점과제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밝혔다.
그는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결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부전~마산 전동열차,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열차, 창원~녹산 광역철도 등 동남권 전 지역 1시간 생활권이 가능한 편리한 광역교통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경남도는 광역교통망 외 지리적 이점과 연계된 문화·산업분야 협력사업 추진을 위해 부산 울산과 공동연구를 추진중이며 구체적인 협력사업은 가덕도 신공항 공동대응, 고부가가치 물류 가공산업단지 조성, 권역별 관광벨트 조성, 창원·울산 수소경제권 구축 등이다.
이를 위해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을 위한 ‘광역특별연합’ 구성에 나선다. 동남권 광역연합은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실효적, 지속적 행정통합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김 지사는 “광역특별연합은 당면한 과제이고 (부산 울산 경남) 행정통합은 장기 추진 과제”라고 했다. 이어 “행정통합을 하게 되면 부산과 경남이 먼저하고 울산과는 뒤에 하지 않겠나”고 전망했다.
아울러 “수도권에 대응한 경제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선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며 “두번째 핵심사업으로 지역 연구개발 혁신기반과 지역혁신플랫폼, 스마트인재양성 민관기관 유치를 통해 스마트 인재를 대규모 양성할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현장기업은 스마트인력 확보 어려움으로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며 “제조업을 혁신할 대규모 스마트 인재를 양성해 공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부경남 발전 전략과 관련해선 “사천을 중심으로 한 우주항공산업, 진주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와 도시재생관련 도시건축사업, 전남 여수·광양의 정유·철강산업과 연계한 신소재산업, 한방항노화 산업 등을 중점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전 세계 주요국에서 탄소배출 감축 정책과 탄소국경세 도입 등 글로벌 경제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기후위기 대응도 적극 나설 것”며 “새로운 경제·사회 질서에 적응하기 위해 도정 전반에 기후 위기 영향평가제를 도입하고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폐자원 재활용순환시스템 구축 등의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드루킹’ 사건 재판과 관련해 김 지사는 “항소심을 통해 절반의 진실을 밝힐 수 있었고 상고심에서 남은 절반도 밝혀 추진 사업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편 창원특례시에 따른 경남도 청사 이전에 대한 질문에 대해 김 지사는 “도청 진주 이전, 논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