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30%대에서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집권 5년 차를 앞두고 추미애 법무부 장관 교체를 공식화하고 유영민 새 비서실장을 임명하면서 인적 쇄신에 나섰지만 아직 효과는 미미하다. 이르면 이번 주 추가 개각이 예상되는 가운데 ‘양날의 검’인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논란을 문 대통령이 어떻게 다루느냐는 집권 5년 차의 첫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꺼내든 두 전직 대통령 사면 논란은 당 최고위원회 이후 ‘일단 멈춤’ 상태다. 청와대도 4일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사면은 문 대통령의 권한이기 때문에 신년 기자회견 등에서 언급이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사면은 국민 통합을 명분으로 중도층을 공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핵심 지지층 이탈이라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는 현안이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사면을 국민 통합의 기제로 삼아야 하는데 오히려 지지층 분열의 양상으로 가고 있다. 정리가 필요하다”며 “‘추미애·윤석열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사면 등 민감한 현안은 대통령이 반 박자 빨리 논란을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 한 차례 더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인사를 통해 다시 한번 쇄신 메시지를 던질 수 있는 셈이다. 여권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이달 중순 신년 기자회견을 앞둔 만큼 그 전에 개각을 마무리하는 것이 통상적인 흐름”이라면서도 “비서실장 교체 등 굵직한 인사를 했기 때문에 시기는 다소 밀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개각 대상자로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가 유력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필두로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 박영선 장관은 최근 SNS에 ‘개천에서 용이 되다’라는 주제로 글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서울의 꿈’을 강조하고 출마 선언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다만 중폭 개각을 하더라도 여당 의원 입각용 개각이 될 경우 쇄신 효과는 크게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은 신년에도 30%대에 머물렀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2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4일 발표한 결과 문 대통령 지지율은 36.6%로 전주 대비 0.1% 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부정 평가는 59.9%로 0.2% 포인트 상승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문 대통령이 인사와 메시지를 통해 ‘추·윤 사태’ 터널에서 빠져나오려 했지만 효과가 미미한 것이다.
배철호 리얼미터 전문위원은 “문 대통령이 반전 카드를 꺼냈는데도 백신 논란, 동부구치소 집단감염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지율이 반등하지 못했다”며 “경제, 코로나19 대응 등은 단기 반등을 할 수 있는 소재가 아니다. 추가 하락을 막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