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금지 더 못 버티겠다” 헬스장 관장들 ‘오픈 시위’ 돌입

입력 2021-01-05 04:02
정부의 집합금지 명령에도 4일 영업을 재개한 경기도 포천의 헬스장 ‘아이언짐’에서 열체크 기계가 입구에 놓여 있다.

실내운동시설 관계자들이 영업금지 기간이 계속 연장되자 방역 당국에 항의의 의미로 회원을 받지 않고 시설 문만 여는 ‘오픈 시위’를 시작했다. 실내운동시설들만 계속 집합금지를 하는 정부의 방역지침이 부당하다는 것이다. 지난 2일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17일까지 연장하며 이들 시설에 대한 집합금지를 연장했다.

헬스장 관장과 필라테스 원장 등 ‘헬스장 관장 모임’ 회원 일부는 4일 오전 9시부터 영업장 문을 열었다. 이날 문을 연 시설 대부분은 형광등을 켜고 실내에서는 음악을 틀었지만 방역수칙 위반을 피하기 위해 회원을 받지 않았다. 일부 회원들은 인근 관장들에게 ‘릴레이 오픈 시위’를 권하면서 “운동은 제2의 백신”이라고 주장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7년째 헬스장을 운영하는 정태영(35) 실장도 이날 문을 열었다. 지난해 12월 8일부터 한 달 가까이 영업을 하지 못한 정 실장의 264㎡ 규모 헬스장은 이달에도 임대료와 관리비 320만원을 내야 한다. 그는 “임대료와 유지비용, 소득세를 합치면 매달 1000만원 정도가 필요해 연말에는 음식 배달도 하고, 대리운전도 해봤지만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감염위험을 피하기 위해 노력을 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정 실장은 코로나19가 이어지자 러닝머신 사이에 ‘비닐 가림막’을 직접 만들었다. 그는 “아크릴 재질로 된 가림막 수요가 늘어 가격이 개당 20만원대로 치솟았다”면서 “직접 가림막 재료를 사서 조립했다”고 했다.

지난해 내내 코로나19 진정과 확산이 반복되면서 300명을 넘겼던 회원 규모는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줄었다. 그동안의 정부 지원은 지난해 4월 2차 재난지원금과 지방자치단체 지원을 합해 250만원 정도라고 했다. 정 실장은 “관할구청에서는 ‘집합금지 권고 시기에 문을 닫은 건 확인이 어렵다’는 이유로 지원금도 일부만 지급했다”며 한숨을 쉬었다.

박주형 필라테스·피트니스 사업자연맹 회장은 “정부가 합리적인 검토를 토대로 방역지침을 지키면서도 영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