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꼬인 상생’ 돌파구 모색

입력 2021-01-05 04:07
새해초부터 광주·전남간 상생이 시험대에 올랐다. 군·민간 공항 이전과 나주 SRF(고형폐기물 연료) 열병합발전소 가동, 행정통합 논의 등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뚜렷한 출구전략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가 1년 만에 재개됐으나 주요 현안은 더 꼬여가면서 시·도간 갈등과 반목이 풀리지 않았다.

출범 7년째인 상생발전위는 그동안 47개 협력과제를 발굴했고 한국 에너지 공대 설립과 에너지 밸리 조성, 제2 남도학숙 건립 등 교육·산업 분야에서 적잖은 결실을 거뒀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물린 군·민간 공항 이전과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 행정통합 등은 갈 길이 아직 멀다.

군·민간공항 이전은 지역 최대 논쟁거리로 시·도 상생의 시금석이 될 공산이 크다. 광주시는 올해 말까지 민간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키로 했다. 그런데 간접적 전제로 제시한 군 공항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지 못해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실시한 시민 여론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동시 이전’을 요구하고 있지만 도는 민간공항 이전 약속부터 먼저 이행하라고 맞서는 형국이다.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민관 협력 거버넌스 위원회가 무산되고 나주시민들이 광주 쓰레기 반입을 거부하며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 나주시와 시민단체들은 “광주 쓰레기는 광주에서 처리하라”는 원칙론을 고수하고 있다. 광주의 폐기물을 나주 SRF 발전소에서 사용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행정통합에 합의한 시·도가 당장 눈앞의 이익에 얽매이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상생발전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공감을 얻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전남은 한뿌리”라며며 “행정통합 논의에 들어간만큼 양보·타협을 통해 지역 상생 해법을 함께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