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내려진 ‘코호트(동일집단) 격리’ 조치가 오히려 대규모 집단감염을 일으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존 코호트 격리에 대한 비판이 나오면서 정부도 코호트 격리 개선에 나섰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교도소, 요양병원 등에서 코호트 격리가 이뤄진 뒤에도 집단감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7일 첫 확진자가 나온 서울동부구치소는 이날 기준 관련 확진자가 1084명으로 늘었다. 지난달 15일 3명의 확진자가 나온 서울 구로구 미소들요양병원도 코호트 격리 이후 이날 누적 확진자가 206명이 됐다.
전문가들은 코호트 격리 조치가 환자와 비감염자 모두를 한 공간에 가두는 식으로 이뤄져 대규모 집단감염을 발생시켰다고 분석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예방의학과 교수는 3일 “접촉자들과 한 공간에 머물고 접촉자들도 1인 1실로 격리하지 않고 다인실에 함께 생활하게 만들어 확진자가 대폭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잠복기 환자들을 비감염자와 같은 공간에 생활하게 함으로써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역효과를 낳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PCR 검사에는 검출 한계가 있어 바이러스가 소량 있거나 잠복기에 있는 감염자의 경우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며 “음성으로 나온 접촉자 간에도 감염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1인 1실로 격리해야 하는데 이들이 함께 생활함으로써 교차감염이 일어난 셈”이라고 지적했다.
향후에는 본래 취지에 맞는 코호트 격리와 철저한 사전예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 교수는 “기존 공간을 접촉자나 확진자만 남겨 일종의 생활치료센터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외부로부터 바이러스를 유입시킬 가능성이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매주 검사를 실시하는 등 집단감염 예방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이날 공간 기준이 아닌 확진·비확진 집단 기준으로 코호트 격리 개념을 전환하는 개선 방안을 내놨다. 가령 확진자가 더 많이 발생한 경우 비확진자를 다른 병원으로 옮겨 확산을 방지하고, 반대로 비확진자가 더 많다면 확진자를 병원 밖으로 빼내 치료를 이어가는 식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전에는 환자들의 전원을 받아주는 병원을 찾지 못한 관계로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해당 병원에서 동일하게 격리되는 경우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확진자와 비확진 그룹 중 하나는 전원을 시키고 병원 내에서는 동질한 성격의 환자들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애 최예슬 기자 amor@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