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1인 가구 급증… 대책마련 분주

입력 2021-01-04 04:03 수정 2021-01-04 17:08

전국의 1인 가구가 급증하자 지방자치단체들은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대부분 1인 가구의 경제적 불안과 질병, 고독, 안전문제를 완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1인 가구를 위한 종합대책’을 시행한다. 올해는 시 전역에 ‘1인 가구 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센터에서는 가족상담사가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서울시는 또 1인 가구의 커뮤니티 활동과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열 예정이다. 1인 가구끼리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품앗이 개념의 ‘시간은행’ 서비스도 만든다. 모두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방점을 둔 정책이다.

1인 가구가 급증하는 원인은 사별한 노년 인구의 증가, 별거·이혼 가정의 증가, 청년층의 취업난과 만혼·독신주의 풍조, 소득 양극화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모두 단기적으로는 풀기 힘든 난제들이다. 때문에 대부분 지자체들은 대증요법에 집중한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 1인 가구의 외로움 극복을 위한 연령대별 커뮤니티 구성, 밥상모임(소셜다이닝) 사업 등 맞춤형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청년 및 중장년 전용 연령대별 커뮤니티를 조성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홀로 사는 노인 가구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보급해 말벗, 음악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24시간 긴급 구조 시스템을 구축한다. 여성 1인 가구 대상으로는 IoT 범죄예방·대응 시스템을 구축한다.

전남도의회는 지난해 4월 도내 1인 가구의 종합적인 대책을 위한 조례를 제정했다. 도지사가 1인 가구 복지 증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광주시 북구는 2019년 7월부터 1인 가구의 고독사를 예방하는 ‘모바일 안심 돌봄서비스’ 운영에 들어갔다. 일정 기간 고독사 위험가구 대상자들의 휴대폰에 통신 이력이 없으면 복지센터 담당자에게 알림이 가도록 한 서비스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