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20만t에 이르는 각종 폐기물 쓰레기를 무단 방치해 국제적 망신을 당했던 경북 의성 ‘쓰레기산’이 한 달 안으로 완전히 사라진다.
31일 의성군에 따르면 단밀면 소재 한국환경산업개발에 쌓인 쓰레기산의 폐기물 처리율은 97.9%다. 총 19만2000t 중 18만8000t이 처리됐으며, 남은 4000t 가량의 폐기물은 늦어도 1개월 안에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쓰레기산 처리를 위해 2년 간 국비와 도비, 군비 약 282억원이 투입됐다.
2019년 5월부터 폐기물 쓰레기 처리를 시작한 시작한 의성군은 낙동강 수질과 주변 지역 환경오염 예방을 위해 각별히 신경썼다고 밝혔다.
일반적인 행정대집행과 달리 현장에 선별·파쇄·분쇄시설을 설치해 재활용을 최대화하고 비용은 최소화했으며 폐기물이 다른 지역에서 재방치되지 않도록 관리했다.
의성군은 현장에서 선별 처리한 폐기물 8만5000t을 열회수시설의 보조연료로 재활용하고 순환토사로 4만7000t, 매립 3만5000t을 처리했으며 나머지 1만4000t을 소각했다.
의성 쓰레기산은 한국환경산업개발이 2016년부터 허용 보관량(1020t)의 무려 189배에 달하는 폐기물을 방치하면서 생겨났다.
이 업체는 폐기물재활용업을 하면서 불법으로 수집·운반한 폐기물을 현장에 방치하면서 20여 차례 행정 처분과 6차례의 고발을 당했음에도 각종 소송으로 대응하면서 화재 발생과 악취 등으로 환경오염을 야기했다.
2018년 12월 이곳에서 발생한 화재가 한달 가량 이어지면서 세상에 알려졌고, 지난해 3월엔 미국 CNN에 소개돼 국제적 망신을 사기도 했다.
의성군은 2019년 2월과 8월 각각 행정대집행 계고 및 재산 가압류를 결정하고 집행 영장을 발부했다. 또 같은 해 5월 ‘폐기물 처리 명령 미이행’을 이유로 업체의 허가를 취소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폐기물 처리에 집중하고 재발 방지 및 소송 문제 해결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며 “쓰레기를 치운 자리에 자원 순환 교육관과 기억의 숲 등을 만들어 교육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성=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