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심 헤아리며 소통하는 새 청와대 기대한다

입력 2021-01-01 04:02
새 대통령 비서실장에 유영민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청와대 민정수석에는 신현수 전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이 임명됐다.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사태를 비롯해 코로나19 백신 도입 논란 등으로 수세에 몰린 문재인 대통령의 ‘쇄신 인사’의 하나다. 유 실장은 기업인 출신이다. 앞으로 실물경제 개선에 방점을 두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신 수석은 이번 정부 들어 첫 검찰 출신 민정수석이다.

임기 말 경제를 먼저 챙기겠다는 대통령의 뜻은 바람직하다. 대한상의, 경총 등 주요 경제단체장들의 신년사에서 보듯 기업 규모를 막론하고 기업인들의 정부와 여당에 대한 불만은 심각하다. 기업인들을 뛰게 하지 않는 한 재정 투입만으로 제대로 된 경제 회복을 이루기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대통령 비서실장의 책무는 이보다 훨씬 포괄적이고 무겁다. 민심을 제대로 헤아리고 국민과 끊임없이 소통해 화합의 정치를 이루도록 대통령에게 조언하는 게 최우선 책무다. 특히 임기 말의 경우 여당 야당과 긴밀한 소통이 가능한, 고도의 정치적 판단력을 가진 비중 있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그런 측면에서 상당수 국민에게 이름이 생소한 데다 정치 경력이 짧은 유 실장이 그런 중임을 소화할지에 대해 의구심이 있는 게 사실이다.

신 수석 발탁이 검찰을 잘 아는 인사를 기용해 검찰을 더 효율적으로 통제하겠다는 목적이라면 단추를 잘못 꿴 것이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윤 총장 징계 과정에서 ‘실수’한 게 아니다. ‘검찰 개혁=윤 총장 몰아내기’란 잘못된 인식에서 모든 게 엇나갔다. 추 장관식 검찰 개혁 방향과 목적을 답습한다면 제2의 추-윤 갈등이 벌어지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윤 총장의 손을 들어준 판사 탄핵을 요구하고 이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서둘러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여당 일부 의원들 목소리를 신 수석이 제어해야 한다.

1년간 나라를 두 쪽 나게 한 갈등이 다시 벌어진다면 이는 여권의 불행에 그치지 않는다. 코로나19 탈출과 그 후유증 극복에 힘을 모아야 할 국력이 낭비돼 나라의 불행으로 이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