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이례적 하루 3차례 인사 브리핑… ‘5년차’ 급속 개편

입력 2020-12-31 04:02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30일 오후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의 사의 표명 관련 브리핑을 하기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초대 공수처장 지명→장관 교체 발표→청와대 고위참모 동반 사의 발표.’

청와대는 30일 이례적으로 세 차례에 걸쳐 인사 관련 브리핑을 했다. 특히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상조 정책실장, 김종호 민정수석의 사의 표명을 공개하며 ‘국정 일신’ ‘백지 위에서 국정 구상’ 등의 표현을 썼다. 문재인 대통령이 평소 국면 전환용 인사에 거부감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일 정도로 강도 높은 인적 쇄신을 예고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인사는 다음 달 집권 5년차를 앞두고 청와대와 내각의 대대적인 쇄신을 통해 레임덕을 차단하고 국정 장악력을 유지하려는 절박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새해가 오기 전 청와대 최고위 참모들의 사의를 공개한 것은 문 대통령의 인적 쇄신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해석이다.


노 실장 후임으로는 유영민(사진)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유력 거론된다. 유 전 장관은 부산 출신으로 LG전자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해 LG CNS 사장을 지낸 기업인 출신이다. 2017년 7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과기부 장관을 지냈다. 그동안 우윤근 전 러시아 대사,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이호철 전 참여정부 민정수석 등 정치인 출신이 거론되던 상황에서 실물 경제에 밝은 ‘제3의 후보’인 유 전 장관이 급부상했다.

노 실장은 이날 초대 공수처장과 법무부 장관 등 새 국무위원 관련 인사 업무를 마지막으로 처리한 뒤 문 대통령에게 사의를 공식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백지 위에서 새로운 국정 구상이라는 표현 자체를 노 실장이 한 것”이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이 김 실장을 교체한 것도 부동산을 비롯한 경제정책 전반에서 심기일전하겠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김 실장이) 긴 기간 소임을 다해 왔고, 최근에 정책 관련 부처 장관들이 많이 바뀌는 과정”이라며 “새롭게 하는 구상이 새로운 체제에서 가동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우겠다고 사임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그동안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에 부동산 문제가 영향을 미친 만큼 여당에서 김 실장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실장 후임으로는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또는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이 유력하다.

김종호 민정수석도 취임 4개월여 만에 교체가 공식화됐다. 문 대통령이 ‘추미애·윤석열 사태’로 인한 민심 이반을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인사라는 분석이다. 여권 관계자는 “민정수석실에서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집행정지에 대해 항고를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보고를 했는데, 문 대통령이 듣지도 않고 25일 곧바로 사과한 것으로 안다”며 “그 정도로 대통령이 위기감을 느낀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윤 총장 징계 과정에서 수차례 ‘절차적 정당성’을 공개 지시했지만, 법원은 윤 총장 징계에 절차적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수석 후임으로는 신현수 전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이 확실하다는 것이 여권의 전망이다.

비서실장과 정책실장, 민정수석 동시 교체로 비서진의 대대적 개편도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음달 초 개각 폭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추가 개각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포함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