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서민경제를 덮친 올 상반기 ‘생계형 대부업자’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 규제 등으로 대부 시장이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대부업에 뛰어드는 영세업자가 늘고 있다는 뜻이다. 최근에는 급전 수요가 급증하면서 대부업체를 찾는 자영업자 비중도 커졌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 말 기준 등록 대부업체가 8455개로 지난해 말보다 101개(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자산 100억원 미만 업체를 중심으로 법인이 66개(2.4%) 감소한 것과 달리 개인 대부업자는 167명(3.0%) 늘었다.
등록 기관별로는 주로 영세업자인 지방자체단체 등록 대부업체가 같은 기간 6999개에서 7222개로 223개(3.2%) 증가했다. 지자체에 대부업체로 등록하기 위한 최소 자기자본 기준은 법인 5000만원, 개인 1000만원으로 문턱이 낮다. 반면 자기자본을 5억원 이상 갖춰야 하는 금융위 등록 대부업자는 9.0%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세한 소규모, 개인 위주의 대부업체 또는 대부중개업자가 늘었다”며 “경기가 안 좋다 보니 대부업 등록을 하는 생계형 자영업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작 대부시장 자체는 쪼그라들었다. 6월 말 대부업 대출잔액은 15조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9000억원(5.5%)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규모별로는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가 내준 대출은 6월 말 12조110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조90억원(7.7%) 감소한 반면 중·소형 대부업체의 대출잔액은 1351억원(4.8%) 늘었다.
대부 이용자는 157만5000명으로 같은 기간 11.4% 줄었지만 1인당 대출잔액은 955만원으로 오히려 59만원(6.6%) 늘었다. 특히 올 상반기에는 대형 대부업체의 대출잔액 기준으로 자영업자 비중이 21.6%로 지난해 말(19.8%)보다 1.8% 포인트 상승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회사원이 68%에서 64% 수준으로 4% 포인트 감소한 것과 대조된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