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천어축제의 고장’ 강원도 화천군이 산천어 식품 산업화에 뛰어들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축제 취소로 애물단지가 된 산천어 77t을 소비하기 위해서다. 겨울축제가 아니더라도 저장성과 상품성 높은 식품을 통해 누구나 산천어 요리를 사계절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도 담겼다.
군은 30일 오후 재단법인 나라에서 산천어 요리 시식회를 가졌다. 국내 유명 호텔 쉐프 등이 산천어 반건조 제품과 통조림, 산천어 활어를 이용해 만든 20여개 요리를 선보였다. 회무침과 통구이 등 일반적인 산천어 음식을 비롯해 크림 수프, 부야베스, 감바스알하이오, 브루쉐타, 피자 등 이색적인 요리를 선보였다. 이와 함께 산천어 통조림을 활용한 김치찌개, 산천어 죽, 매콤한 맛과 쫄깃한 식감의 양념구이 등 다양한 한식 메뉴도 소개했다.
군은 관련 제품들에 대한 상표 등록과 동시에 홈쇼핑, 온·오프라인 마켓, 직거래 채널 등 다양한 유통망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천어 2차 가공식품(사진)은 소비자가 각자 기호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식재료 생산에 초점을 맞췄다. 현재 산천어 반건조 제품과 통조림 시제품 생산 가능 단계까지 도달한 상태다.
반건조 제품은 산천어를 손질해 염장처리를 한 후 2차례의 건조단계를 거쳤다. 조리 시 원형이 잘 유지되고, 다른 민물 생선과 달리 잡내나 흙내가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조리가 간편하고, 한식이나 양식 일식까지 범용성도 갖춰 시장성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산천어 통조림은 국내 식품 대기업과 손잡고 OEM(주문자 위탁생산) 방식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군은 내년 1월 9일부터 23일 동안 산천어축제를 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개최가 어려울 전망이다. 이 때문에 축제를 위해 미리 준비해 뒀던 산천어 77t 처리가 숙제로 남아있다. 산천어 한 마리가 300g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25만마리에 해당하는 양이다. 군은 구제역 파동으로 축제가 취소됐던 2011년에도 산천어를 어묵과 퇴비용으로 활용했지만, 물량이 워낙 많다 보니 판로를 찾기 힘들어 산천어 소비에 애를 먹었다.
화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