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탓에 올해 국민 체육활동 참여율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율이 줄어든 건 2017년 이후 3년 만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30일 발표한 ‘2020년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생활체육 참여율은 60.1%로, 2019년 66.6% 대비 6.5%포인트 감소했다. 생활체육 참여율은 최근 1년간 주 1회 이상, 1회 30분 이상 규칙적으로 체육 활동에 참여한 비율을 말하며,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간 전국 17개 시도 만 10세 이상 국민 9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전년 대비 0.3%포인트 참여율이 감소한 2017년을 제외하면 최근 5년 간 생활체육 참여율은 매년 전년 대비 3%포인트 이상 증가해 왔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체육시설 이용이 제한되면서 참여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생활체육 참여율은 대부분 집단에서 하락했다. 특히 남성(8.2%포인트 감소), 30대(11.7%포인트 감소), 월수입 300만~350만원 집단(16.7%포인트 감소), 읍면 이하 지역(11%포인트 감소)에서 전년 대비 참여율이 크게 하락했다.
실내종목 참여율이 감소하면서 실외종목 참여율이 증가하는 추세도 나타났다. 실내종목의 전년대비 참여율은 보디빌딩 2.9%포인트, 요가·필라테스·태보 1.1%포인트, 수영 2.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실외종목의 전년대비 참여율은 걷기, 등산, 축구·풋살이 각각 0.3%포인트, 자전거·사이클은 0.6%포인트 증가했다.
문체부는 “내년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체육활동 여건이 좋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온라인 운동콘텐츠와 프로그램 보급, 비대면 체력관리 지원 등 맞춤형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동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