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에 초점 둔 문 대통령, 모더나와 통화·3차 지원금 발표

입력 2020-12-30 04:02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영상회의실에서 스테판 반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와 화상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는 29일 국민 체감도가 가장 높은 민생 현안인 코로나19 백신 확보와 3차 재난지원금을 주무부처를 대신해 직접 공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전 10시 국무회의에서 9조3000억원 규모의 3차 재난지원금 세부 규모를 발표했다. 30분 뒤인 오전 10시30분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전날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스테판 반셀 최고경영자(CEO)와 통화해 20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는 사실을 알렸다. ‘추미애·윤석열 사태’ 터널에서 벗어나 방역과 경제에 다시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모더나 물량은 애초 3분기 1000만명분이었는데 2분기 2000만명분으로 시기도 당기고 물량도 늘린 것”이라며 “지금 상황에서 물량 바꾸기는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대통령이 직접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해외 기업인과 통화하고 청와대가 이를 공개한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렵다. 문 대통령이 외국 정상 외에 직접 통화한 해외 인사는 빌 게이츠 ‘빌앤드멀린다게이츠 재단’ 이사장에 이어 반셀 CEO가 두 번째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그만큼 백신 확보 문제를 우선순위에 뒀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백신 도입 시기를 더 앞당기려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으며 접종 준비도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방역 당국은 문 대통령과 반셀 CEO의 통화를 계기로 애초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백신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양동교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장은 브리핑에서 “당초 (모더나와의) 실무협의에선 상반기 공급이 어렵다는 입장이었다”며 “통화에서 2분기로 공급을 앞당길 수 있다는 합의가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계약 시기도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했다. 내년 1월 중 계약 체결을 목표로 그간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문 대통령과 반셀 CEO가 빠른 계약에 뜻을 같이한 만큼 최대한 서두르겠다는 것이다. 다만 모더나 백신의 국내 위탁생산은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양 국장은 “아직까지 구체화된 내용은 없다”면서도 “질병청과 관계부처가 협력 계획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입을 시작으로 4월 모더나 백신을 순차적으로 도입해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물량은 5600만명분으로 이미 충분히 확보했다”며 “얀센과 화이자 백신 도입을 3월로 당기는 방안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 등 민생대책도 이날 발표됐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위기에 놓인 국민의 삶을 지키기 위해 9조3000억원 규모의 3차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차등 지원 방침을 설명하면서 “한시가 급한 만큼 내년 1월 초부터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지원 규모와 액수, 집행 시기까지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것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30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교체하는 동시에 초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추·윤 사태’를 마무리 짓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인사로 해석된다.

임성수 송경모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