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제조·수출업체 10곳 중 8곳이 코로나19에 따른 영업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업체는 이 같은 위기상황이 앞으로 1년 이상 갈 것으로 내다봤다.
29일 광주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역 131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코로나19 피해 영향’을 조사한 결과 직·간접적 피해업체가 81.7%로 파악됐다.
피해 업체 중 49.5%는 매출감소, 자금압박 등 직접피해를 봤다고 했다. 나머지는 사업추진 일정이 늦어지는 등 간접적 피해와 함께 직접·간접 이중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대기업은 매출·주문 물량 감소 등 직접 피해보다는 영업기회 축소 등 간접피해를, 중소기업은 부품과 자재 조달, 납기지연 등 직접피해를 주로 호소했다.
내수에 주력하는 중소기업에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준 것으로 분석됐다. 내수기업의 경우 노무 인력관리 어려움 등 간접피해가 45.1%로 매출 감소 등 직접피해 36.6%보다 많다고 응답했다.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 줄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53.4%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지속 기간을 향후 1년이라고 답했으며 2년이라고 예상한 업체는 24.4%, 1년 6개월은 14.5%로 집계됐다.
대기업과 수출기업은 물량 감소와 해외공장 등 직접피해 비율이 55.2%에 달했다. 해외전시회 개최 애로 등 간접피해는 27.6%에 머물렀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지만 내년 경기는 호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 이유는 기존 거래처와의 거래량 증가(37.5%),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25.0%), 신규거래처 발굴(16.7%)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가전·전기·전자, 의료기기, 음식료 등에서 기대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위축이 내년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되지만 투자심리 회복 분위기도 뚜렷한 만큼 기업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책자금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