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 강조에 ‘추·윤’ 해결 타이밍 놓친 文, 주중 인적 쇄신 전망

입력 2020-12-28 04:02

문재인 대통령의 ‘성탄절 대국민 사과’로 1년 가까이 계속돼온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충돌은 여권의 완패로 끝났다. 이번 사태에 대해 이달에만 세 차례 사과한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극복과 민생경제 회복에 초점을 맞추면서 출구전략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른바 ‘추·윤 갈등’이 1년가량 이어지면서 국정 혼란이 가중됐는데,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이 절차와 원칙만 강조하다 정치적 해결 타이밍을 놓쳤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렵게 됐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6일 “문 대통령이 직접 사과한 만큼 (추·윤 갈등은) 일단락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당 일각의 ‘윤석열 탄핵론’에 대해서도 “두 달 징계도 안 됐는데, 탄핵이 가능하겠느냐”며 거리를 뒀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이날 고위 당정청에 참석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이례적으로 공개 발언을 하며 코로나19 백신과 민생 경제를 강조한 것을 ‘신호’로 보는 시각도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노 실장이 공개 발언을 한 것 자체가 코로나 대처와 민생으로 방향을 맞추자는 메시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 실장이 문 대통령에게 사의를 밝힌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노 실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에게 사의를 밝히거나) 그런 적이 없다”며 “내년 1월까지 할지, 2월까지 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다음 달 집권 5년차를 맞는 문 대통령으로선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문 대통령은 자신이 재가한 윤 총장 징계에 법원이 집행정지 결정을 하자 지난 25일 “인사권자로서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정국 혼란에 대통령으로서 매우 죄송한 마음”(12월 7일) “검찰총장 징계에 이르게 돼 국민들께 매우 송구하다”(12월 16일)고 한 데 이어 세 번째 사과다.

인적 쇄신의 신호탄은 추 장관 사표 수리가 될 전망이다. 여권에서는 국회에서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가 28일 후보자를 추천하는 절차를 마치면 추 장관의 사표도 처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청와대도 “오래 끌 문제는 아니다”는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공수처장 최종 후보 2인 중 1인을 지명하고,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초대 공수처장직에 오른다. 문 대통령이 “새해 벽두에는 공수처가 정식 출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한 만큼 속전속결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르면 29일 추 장관 사표를 수리하는 동시에 내년 초로 예정됐던 2차 개각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시장 출마가 예상되는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필두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도 한 차례 고비가 될 전망이다. ‘추·윤 갈등’ 후폭풍이 여전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변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는 것도 정치적 부담이 크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