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유일 해결책 아니다” 백신 부족 우려에 여당 반박

입력 2020-12-18 00:06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서 참석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이 대표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문제에 대해 “불행의 사슬을 이제는 끊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이 ‘K방역’을 앞세우다 국제사회에서 코로나19 백신 확보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비판 여론에 대해 연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백신 접종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백신 확보에만 매달릴 게 아니라 K방역으로 현 상황 관리를 해나갈 수 있다며 민심 수습에 힘을 쏟는 모양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병상 문제까지 불거지는 위기 상황에서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인 백신 확보에 정부 여당이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K뉴딜위원회 방역본부장을 맡은 김성주 의원은 17일 정책조정회의에서 “백신은 ‘게임 체인저’ 일지언정 ‘게임 오버’는 아니다”며 “백신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하는 것은 지금까지 잘 유지해온 방역을 흐뜨러트릴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백신 접종을 부러워할 것이 아니라 K방역에 성공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우리 방식의 치료제 개발과 백신 확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현재 대규모 감염자와 사망자가 발생하는 미국, 영국 상황과 한국 상황을 단순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이다.

민주당의 이같은 대응은 정부·여당이 성공적이라고 평가해온 K방역의 위상이 최근 야권과 일부 의료계의 비판으로 흔들리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4400만명분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했다는 정부 발표에 대해 “확실히 계약된 건 1000만명분 뿐”이라며 백신 부족 사태에 대한 우려를 연일 제기하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도 “환자 수는 늘어나는데 병상도 의사도 백신도 부족한 ‘3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쯤 되면 우리가 자랑하던 K방역이 신기루가 아닌가 싶다”며 맹공을 이어갔다.

민주당은 해외에서 들여오는 백신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신중론을 펴왔다. 다른 나라의 백신 접종 상황을 지켜보며 부작용과 면역 지속성 등을 충분히 검토한 뒤 적절한 시점에 적정 양의 백신을 구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또 미국 등과 달리 백신 선구매와 관련한 법적 근거나 예산이 부족한 현실도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코로나19 3차 대유행에 따른 우려가 커지고 사망자 숫자도 급증하면서 백신 물량 부족에 대한 우려와 책임론은 쉽사리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도 K방역과 함께 백신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청와대는 이날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NSC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국내외 코로나19 확산과 백신 확보 상황을 점검하고 외교안보분야에서도 모든 역량과 노력을 집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