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기독교계, 생활치료센터 제공 적절… 방역 협력은 필수

입력 2020-12-16 04:01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병상 부족 사태가 심각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5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880명으로 집계돼 직전일(718명)보다 162명 많았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확산세가 잡히지 않으면 하루에 950명에서 1200명의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병상 확보 등 가용 가능한 인적·물적 자원 총동원에 나섰다.

이런 상황에서 여의도순복음교회 등 기독교계가 교회시설을 코로나 확진자와 자가격리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로 제공하기로 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경기도 및 강원도 일대 기도원과 수양관 등 890실을 활용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생활치료센터는 확진자 발생 대응뿐 아니라 치료 효율을 높여 위중증 환자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방역 현장에선 경증환자 치료 병상인 생활치료센터가 감염병 치료의 ‘허리’ 역할을 한다고 본다. 경증 단계에서 신속한 치료로 중증 환자 발생을 줄이고 확진 후 즉시 입소를 통해 병세 악화를 예방할 수 있어서다.

코로나 위기 시대에 고통받는 이웃을 위해 교회 시설이 섬김의 역할을 하는 것은 기독교 정신을 감안할 때 어쩌면 당연한 조치다. 한국 교회는 그동안 연합기관인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을 중심으로 코로나 국난 극복 지원에도 앞장서 왔다. 대다수 교회는 어려움 속에서도 공동체를 위해 생명과도 같은 예배를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등 정부의 방역수칙 준수 요청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몰지각한 교회에서 정부 방역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이고, 방역수칙을 어기는 일도 생겨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지난여름 전국 교회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자 교계 지도자들은 사회에 대한 깊은 책임의식을 공유하며 반성과 사과를 했다. 이후 교회발 집단감염이 수그러드는가 했더니 최근 다시 일부 교회에서 방역수칙을 어기고 무분별하게 예배를 강행하거나 부흥회, 성가대 연습 등으로 집단감염의 원인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교회발 감염 확산이 늘고 있는 것은 유감이다.

교회는 생활방역 체제에서도 자발적으로 방역수칙을 준수해 사회 공동체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 특히 어떤 형태로든 예배를 통해 코로나가 확산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교회는 기독인의 소박하고 절제하는 미덕을 끝까지 지킴으로써 유종의 미를 거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