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사진)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취임 후 첫 ‘빅딜’은 로봇업체 인수였다. 지분 인수에 2400억원가량 사재를 출연할 만큼 공을 들인 건 그룹의 지향 가치에 부합하는 데다 로봇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봤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1일 미국 보스턴 다이내믹스사 인수를 계기로 본격적인 로봇사업에 진출한다고 13일 밝혔다. 소프트뱅크그룹으로부터 보스턴 다이내믹스에 대한 지배 지분 80%(현대차 30%, 현대모비스 20%, 현대글로비스 10%, 정 회장 20%)를 확보해 내년 상반기까지 인수를 마친다는 구상이다.
정 회장은 로봇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해 왔다. 지난해 10월 임직원 대상 타운홀 미팅에서 그는 “현대차그룹 미래 사업의 50%는 자동차, 30%는 UAM(도심항공모빌리티), 20%는 로보틱스가 맡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로봇 기술의 확보는 정 회장이 지난 10월 취임 메시지에서 밝힌 ‘인류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이동을 실현하겠다’는 목표, 더 나아가서는 ‘인류의 진보를 이끄는 미래 모빌리티를 만들겠다’는 현대차그룹의 지향 가치와도 맞닿아 있다. 상업적 용도뿐 아니라 치안·안전·보건 등 인류를 위한 공공 서비스 영역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현대차그룹은 로봇사업 목표를 물류와 이동형 로봇을 거쳐 개인 서비스가 가능한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잡았다. 사람의 팔·다리 등을 대체하는 로봇을 개발해 재난구조, 의료 및 헬스 케어, 자율주행 이송, 안내 지원 보조 등 다양한 실생활 영역에서 활용한다는 것이다.
또 로봇 기술은 기존 자동차 분야와 더불어 자율주행차·UAM·목적기반모빌리티(PBV) 등 현대차그룹의 미래 신사업 분야와 결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판단과 정밀제어가 가능해지고, ‘걸어 다니는 차’ 개발 등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언택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로봇산업 수요는 급증하는 추세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2017년 245억 달러 수준이었던 글로벌 로봇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22%를 기록, 올해 444억 달러 수준으로 커질 전망이다. 또 2025년까지 연평균 32%씩 성장해 1772억 달러 규모로 신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로봇연맹(IFR)은 산업용 로봇 시장이 매년 14%씩 성장하고 있으며 내년 63만여대가 판매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