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K뉴딜 성공을 위한 금융의 역할’ 포럼에서는 한국판 뉴딜펀드의 투자 방향과 사업성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정책형, 인프라형, 민간으로 나뉘는 뉴딜펀드 개념과 구조를 두고 아직 혼선이 있고 투자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우상현 KB금융그룹 전무는 “K뉴딜 사업은 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금융기관 입장에서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기회”라면서도 “뉴딜펀드의 경우 원래 장기 인프라 투자 중심이었다가 국민참여형 펀드가 포함되면서 혼돈이 있었다. 다소 ‘백화점식’ 정책 발표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치 정립을 명확히 한 뒤 금융 지원을 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경신 국회입법조사처 금융공정거래팀장은 뉴딜펀드의 투자 대상 중복, 과잉 투자 문제를 지적했다. 김 팀장은 “민간 뉴딜 분야에 경우 벤처캐피털(VC) 투자가 정보통신기술 25.4%, 바이오·의료 부문 25.8% 등으로 편중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관투자가들이 뉴딜펀드에 뛰어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김건주 한국교직원공제회 기금운용전략실 기획팀장은 인프라펀드와 관련해 “기존처럼 임대형 민자사업(BTL)에 투자한다면 수익률은 기대보다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종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 투자정책전문위원장은 “일반 펀드 입장에선 특혜성으로 비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세훈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뉴딜의 기본 콘셉트는 경제, 사회에 유익한 효과를 주지만 민간이 투자하기엔 수익성이 낮은 산업에 정부가 자금을 공급하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이어 “펀드 관련 구체적인 투자는 취지에 부합하는 민간의 제안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차종현 차파트너스자산운용 대표는 펀드 상품에 대해 “‘인프라 벤처펀드’를 조성하면 소형 사업자들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정책 취지에 공감을 표시했다. 서종군 한국성장금융 전무는 “만기가 20~30년인 인프라펀드를 개인이 투자하는 건 힘든 만큼 기간을 줄여 판매하는 아이디어도 있다”고 제안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