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지난 3년간 우리 사회 갈등이 더 심각해진 것으로 느끼고 있다.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편 가르기식 정치문화’와 ‘자산 양극화 확대’가 꼽혔다. 국민일보가 창간 32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다. 여론조사는 리얼미터에 의뢰해 7~8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국민들 사이의 정치 이념적 충돌과 국론 분열, 빈부격차 확대로 인한 계층 갈등이 극심해졌다는 게 조사 결과의 요지다. 사회 분열의 책임을 전적으로 현 정권에 돌릴 수는 없겠지만, 대통령과 정부·여당은 국민 통합을 위해 노력하지 않고 분열을 키운 데 대한 책임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진정한 국민 통합’과 ‘지역·계층·세대 간 갈등 해소’를 약속하고 분열과 갈등의 정치도 바꾸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상황을 보면 이 약속들은 전혀 지켜지지 못했다.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가 57.6%에 달하고, 부정 평가의 이유로 ‘독단적이고 편파적이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온 것도 같은 맥락이다. 대통령의 국정 수행이 독단적이고 편파적이라고 느끼는 국민이 많다는 건 그만큼 갈등 해소를 위한 대통령의 노력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다른 조사 항목에서도 정부·여당에 대해 비판적인 정서가 두드러졌다. 정권에 크게 힘을 실어줬던 지난 총선과 달리 내년 보궐선거와 관련해선 ‘정권 견제론’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에선 야권 후보로 분류된 윤석열 검찰총장이 오차범위 내 선두를 차지했다.
이렇게 싸늘해진 민심을 청와대와 여당은 얼마나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을까. 최근 대통령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8일 청와대 대변인은 “심기일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답은 나와 있고 그렇게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지지율 하락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반응을 보면 엉뚱한 답을 고른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지지율이 빠졌으면 그 이유를 냉철하게 짚어서 만회하려고 노력하는 게 정상일 텐데, 민주당은 콘크리트 지지율이 무너지는 걸 막으려고 집토끼(핵심 지지층) 지키기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민주당의 한 의원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 퇴진 요구를 두고 “독립운동이 시끄럽다고 친일하자는 꼴”이라고 말하는 등 노골적으로 편 가르기를 하는 발언도 계속되고 있다. 지지층만 바라보고 정치하는 것은 국정을 담당하고 있는 정권의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다. 반성하고 분발할 것을 촉구한다.
[사설] 청와대와 여당은 민심 이반 현실을 직시하라
입력 2020-12-10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