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구름다리 설치를 추진 중인 대구시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사업을 바로 시작해야 하지만 설치 반대 기류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팔공산 구름다리 사업은 정상의 케이블카에서 낙타봉까지 폭 2m, 길이 320m 규모의 다리를 설치하는 것이다. 140억원 정도의 예산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구름다리가 완공되면 교통약자들도 팔공산의 경치를 즐길 수 있고 인근 시설과 연계한 관광자원 개발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건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팔공산 주변 상인들도 구름다리 설치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시는 올해 안에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 이달 말까지 사업자와 계약을 못하면 국비 25억원을 반납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는 현재 구름다리 공사 입찰 공고를 진행 중인데 이달 안에 심사 등 모든 절차를 마치고 계약에 나설 예정이다. 하지만 지역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심해 사업 추진 상황이 불투명하다. 시민단체들은 환경파괴, 절차적 문제 등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8일 오후 대구시의회에서 대구시 관련 공무원, 대구시의회 의원,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모여 구름다리 설치 관련 간담회를 진행했지만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대구시가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했지만 시민단체는 시민공청회, 행정 예고 등 법적 절차 없는 촉박한 절차 등에 문제를 제기하며 대구시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대구시와 시의회가 경제성 검토, 이익 환수 근거 등 관련 자료를 준비하지 않아 간담회의 진정성을 느낄 수 없었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