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평가는 낮은 사업성, 느린 사업 속도, 환경 개선효과 부족 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시행자로 참여하면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도시재생사업은 사업 주체들의 전문성 부족, 낮은 사업성과 분쟁에 따른 민간사업자의 참여 부진 등 문제를 안고 있었다. LH는 주민을 대신해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선투자와 미분양 주택에 대한 매입 확약으로 사업 리스크를 낮춰 민간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데 주력했다.
정부·지방자치단체 등의 협업을 주도하고 용적률·건폐율 완화 등 도시계획적인 인센티브를 확보해 사업성도 높였다.
LH가 추진 중인 충남 천안 동남구청 복합개발사업은 새로운 도시재생 성공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노후 청사에 대해 2003년부터 복합테마파크타운 조성사업 등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를 추진했으나 매번 무산됐던 부지에 2016년부터 LH가 자산관리회사(AMC)로 참여해 추진한 사업이다.
LH는 천안시와 업무협약을 하고 제1호로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사업 추진 여건을 마련했다.
올해 동남구 행정복합타운의 업무 개시를 시작으로 2021년 주상복합아파트 입주까지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낙후되고 효율성이 떨어졌던 구청사 등 공공시설은 복합문화공간 및 행정서비스 공간으로 재탄생했고, 주거·상업·복지·일자리의 핵심기능을 복합·연계해 쇠퇴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공간을 확보했다.
LH 관계자는 “과거 ‘벽화 그리기’로 대표되는 주민의 삶과 동떨어진 재생사업을 탈피해 주민들이 필요로 하고 일상에서 빈번히 이용할 수 있는 생활 기반시설(SOC)을 확충하는 재생사업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대표적 사업이 ‘경북영양 복합커뮤니티센터’로 2017년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선정됐으나 지자체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 LH가 수탁받아 추진 중이다. 지상 3층 연면적 1445㎡ 규모로 조성해 공동육아나눔터, 장난감도서관, 다목적강당, 주민카페 등 지역밀착형 생활SOC를 도입할 예정이다.
최근 도시재생사업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방안에 따라 정비사업과 결합해 추진되고 있다. 실제 정부가 지난 5월 6일 발표한 서울 도심 7만 가구 주택공급방안 지역의 대부분이 도시재생 지역이다.
서울 면목, 인천 숭의, 대구 동인 등 전국 20여곳에서 가로로 둘러쌓인 노후 밀집 주거지를 대상으로 미니 재건축을 추진 중인 ‘LH 참여형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좋은 예이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