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 4400만명이 접종할 수 있는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했다고 8일 밝혔다.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1000만명분), 글로벌 백신 제약사들(3400만명분)을 통해서다.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선구매 계약을 완료했고 화이자, 존슨앤드존슨-얀센, 모더나와도 구속력 있는 구매 약관을 체결했다. 내년 2~3월 단계적으로 들여올 예정인데 실제 접종은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지금으로서는 유일한 희망이다. 영국이 8일 세계 최초로 백신 접종을 시작하는 등 글로벌 백신 접종 스케줄이 빨라지고 있다. 정부가 우리 국민의 88%가 접종할 수 있는 상당량의 백신을 확보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이제 겨우 한 걸음을 내디뎠을 뿐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백신은 보관과 유통이 어렵고, 유효기간이 짧아 예방접종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백신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았다. 백신을 사겠다는 나라는 많고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에서 해외 제약사들은 백신 부작용 면책권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약회사와 불공정한 계약을 맺었다. 이처럼 백신 개발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고 안전성이나 효과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백신 접종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라 할 것이다.
정부는 백신 도입과 예방접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전담 조직을 만들어 빈틈 없이 챙겨야 한다. 예방접종 시기도 코로나 상황과 외국 접종 동향 등을 고려해 적기를 잡는 게 필요하다. 노인, 만성질환자, 의료인 등으로 정해진 우선접종 대상자를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국산 치료제 개발에도 전력을 쏟아야 마땅하다. 백신 접종과 치료제 개발이 동시에 이뤄진다면 끝이 보이지 않는 코로나 국면에도 빛이 보일 것이다. 실제 접종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다. 그전까지는 개인의 철저한 방역이 최우선이다.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외출 자제 등 기본 방역수칙 준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사설] 코로나 백신 접종까진 먼 길, 지금부터 시작이다
입력 2020-12-09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