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검찰 수사 도중 극단적 선택을 한 이모(54) 당대표 부실장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후원자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에 빗대며 검찰의 별건수사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 지도부가 공개적으로 문제제기에 나서면서 여권과 검찰 갈등은 더욱 극심해질 전망이다.
김종민 최고위원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유명을 달리한 이 부실장의 비극에 대해 검찰의 별건·표적수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엄정한 감찰이 이뤄져야 한다”며 “10여년 전 노 전 대통령을 죽이기 위해 강 회장을 죄인으로 몰아 죽음으로 내몬 사건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이어 “더 참담한 건 고인을 악용하는 검찰발 보도들”이라며 “고인의 비극을 검찰 내 권력싸움에 이용하고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피의사실과 허위사실을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동근 최고위원도 “그동안 검찰은 인권존중 수사를 강하게 요구받아 왔고, 그렇게 하겠다고 누차 공언해 왔다”며 “반인권적인 수사 관행인 강압수사, 별건수사, 피의사실 사전 공표, 모욕주기 수사 등을 벗어나겠다고 말해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또 별건수사, 피의사실 흘리기라는 고질적 버릇이 도지는 일이 발생했고 이에 피의자가 심리적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죽음에 이르게 됐다”며 “고인은 배우자와의 마지막 통화에서 ‘검찰이 나를 죽이려 한다’고 절규했다고 전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신 최고위원은 “이는 피의사실 외에 별건으로 (피의자를) 압박했다는 생생한 증거”라며 “더 나아가 피의사실 내용을 특정 언론을 통해 흘려보내 고인을 모욕하고 있다. 이는 정치적 의도가 의심되는 표적수사”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검찰 차원의 진상조사와 별도로 국회 차원에서도 반드시 이 문제를 짚고 가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 부실장에 대한 별건수사 의혹에 대해 당 차원에서 별도로 조사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윤석열 검찰총장 지시에 따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실의 진상조사 작업이 마무리되면 국회 차원에서 이를 검증할 계획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