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진작 했어야 할 이명박·박근혜 시절에 대한 진솔한 사과

입력 2020-12-08 04:03
국민의힘 내부가 시끄럽다. 국민의힘 계열 정당이 배출한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잘못에 대한 대국민 사과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대국민 사과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반대 목소리 또한 만만찮다. 김 비대위원장은 그럴 자격이 없다는 ‘자격론’에서부터 ‘사과무용론’에 이르기까지 곳곳에서 거센 반발 움직임이 감지된다.

두 전직 대통령의 구속은 현대사의 불행이다. 이 전 대통령은 대법원에서 징역 17년, 벌금 130억원이 확정돼 수감 중이다. 적용된 혐의는 뇌물수수, 배임, 횡령, 직권남용 등 20가지가 넘는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국정농단 사건으로 2심에서 징역 25년, 벌금 200억원을 선고받고 대법원의 최종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이와 별도로 공천 개입 혐의에 대해서는 징역 2년이 확정됐다.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불행한 말로는 이들에게 반면교사가 되지 못했다. 오히려 따라한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 명명백백하게 드러난 범죄 혐의가 한두 가지가 아닌데 이들은 대국민 사과는커녕 자신들을 정치적 희생양으로 포장하고 있다. 이는 법원의 판단을 전면 부정하는 것으로 재임 시 누구보다 법치를 강조했던 자신들의 언행과도 배치된다. 당시 여당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권을 창출한 여당은 정부와 함께 국정 운영의 무한책임을 지는 존재다. 그럼에도 당을 책임진 그 누구도 두 전직 대통령의 범죄와 국정농단 행위에 대해 진솔하게 사과한 적이 없다. 민감한 지역정서를 자극할 것을 우려해 애써 외면한 측면이 없지 않다. 이런 무책임한 마음가짐으로 선거에서 이기려고 하니 번번이 더불어민주당에 맥을 못 추는 거다.

진작 했어야 할 대국민 사과다. 사과는 선택이 아닌 당위로 국민이 ‘그만’할 때까지 몇 번이고 하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러지 않고는 국민의힘이 이명박·박근혜 체제의 연장선이라는 이미지에서 헤어나기 어렵다. 외연 확장을 위해서도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다. 지금 반짝 지지율이 올랐다고 해서 유야무야 넘어갈 경우 제 무덤을 스스로 파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