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계획이 본격화되며 백신 반대론자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의무 접종에 대한 반발이 거세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5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접종을 의무화하는 것은 ‘의료의 자유’에 대한 침해라는 백신 반대론자들의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테파니 스톡 오하이오주 의료자유운동 대표는 “어떤 종류의 백신도 의무 접종을 반대한다”며 “특히 우리에게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않을 권리가 있기를 바란다”고 폴리티코에 밝혔다.
폴리티코는 이미 몇몇 주지사는 시민 반발을 고려해 의무 접종 계획을 접었다고 전했다. 종업원에 대한 기업의 의무 접종 요구도 법률적으로 성사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대개의 나라에서 의료진은 최우선 접종 순위에 있지만 미국 최대 간호사 노동조합은 어떤 백신이라도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는 이상 접종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럽은 전 국민 의무 접종을 시행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일간 르파리지엥은 “스위스를 제외하고는 (유럽에서) 백신이 법적으로 의무화된 전례가 없다”면서 “정부도 시민의 반발을 고려해 의무 접종을 도입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독일도 의료진을 제외하고는 의무 접종을 실시하지 않을 계획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지는 않았지만 최대한 접종에 응해야 한다는 모호한 규정을 도입했다. 지난 3일 일본 참의원이 만장일치로 가결한 예방접종법 개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백신 접종 비용 전액을 부담한다. 이 개정안에는 국민은 백신 접종에 최대한 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