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1528만6000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2.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강력 범죄 발생과 쓰레기 배출량 증가 등 삶의 질 관련 각종 지표는 악화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가 최근 발간한 ‘2020 통계로 본 제주의 어제와 오늘’에 따르면 제주 입도 관광객 수는 2009년 652만4000명에서 지난해 1528만6000명으로 876만2000명(134.3%) 증가했다.
이중 외국인 관광객은 2009년 63만2000명에서 지난해 172만6000명으로 109만4000명(173.1%) 늘었다.
상주 인구도 크게 증가했다. 주민등록인구가 2009년 56만2663명에서 2019년 67만989명으로 10만8326명(19.3%)이나 늘어난 것이다.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돼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09년 11.9%에서 2019년 15.0%로 증가하며 고령화사회(7% 기준)에서 고령사회(14% 기준)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를 오가는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소득 규모도 증가했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009년 10조5959억원에서 2018년 20조511억원으로 89.2% 늘며 같은 시기 전국 증가율(57.5%)에 비해 31.7%p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1인당 GRDP도 2009년 1942만원에서 2018년 3072만원으로 58.2% 증가해, 전국 1인당 GRDP 증가율(50.5%)을 상회했다.
같은 기간 삶의 질 관련 각종 지표는 악화됐다. 한해 범죄 발생건수가 2009년 2만4104건에서 지난해 2만6090건으로 8.2% 늘었고, 검거율은 89.1%에서 81.2%로 하락했다. 특히 살인 강도 강간 등 강력범죄 발생 건수가 2009년 239건에서 지난해 475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쓰레기 발생량도 급증해 하루 발생 폐기물이 2009년 3342t에서 2018년 4847t으로 45% 증가했다. 생활쓰레기 하루 배출량은 622t에서 1314t으로 111% 증가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