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가 ‘강남 3구’에 도전장을 냈다. 초선인 이정훈(사진) 서울 강동구청장은 “3년 뒤 강동구를 ‘강남 4구 제일의 균형도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쪽 천호·성내 구도심과 동쪽 고덕·상일 신도심을 균형 개발한다”며 “강남권에서 강동이 가장 지역 차별 없는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구청장은 지난 2일 구청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구도심에는 40층 안팎의 고층 재개발 주상복합아파트와 각종 문화거리가, 신도심은 지하철 연장노선들과 대규모 기업 단지들이 들어서게 된다”고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신도심 집중 투자로 기형적인 도시 형태를 만들기보다는 구도심 분산 투자로 안정적인 모습을 갖추겠다는 뜻이다. 그는 “강남을 따라잡기보다는 서대문·마포처럼 균형 잡힌 도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강동구는 인구증가 속도가 서울에서 가장 빠르다. ‘국내 최대’ 둔촌 주공 아파트 재건축을 거쳐 현재 인구가 45만7000명(서울 7위)인데 2023년에는 55만명(3위)까지 뛸 것으로 예상된다. 평균 가계 소득은 현재 3위에서 2위로 도약한다. 이 구청장은 “강남 3구가 부럽지 않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구도심이 ‘아픈 손가락’이다. 이 구청장은 “오래된 상권인 천호동이 어둡고 죽은 거리가 됐다는 걸 피부로 느낀다”고 묘사했다. 이에 강동구는 천호·성내동을 밝고 역동적인 주거·문화지역으로 탈바꿈시킨다. 천호동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낡은 1차로 ‘구천면로’에 북카페와 공유주방, 상점을 유치한다. 성내동 인근에는 주꾸미골목~강풀만화거리~세계 만화박물관~엔젤공방거리로 이어지는 테마 길을 만든다. 이 구청장은 지론인 “공간이 바뀌면 사람이 바뀐다”를 강조했다. 구도심 내 가로수들도 다시 심어 편안함을 주는 경관 개선을 추진한다.
신도심에는 고층 빌딩이 늘어선 기업 단지들이 조성된다. 강동구가 ‘3개의 심장’이라고 부르는 고덕비즈밸리와 강동일반산업단지, 첨단업무단지에 강소·중견기업과 이케아, 관공서들이 모인다. 모두 제조 시설 아닌 연구개발·상업 단지다. 이 구청장은 “일자리가 늘면서 강동구가 젊은 도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도심의 최대 과제는 교통이다. 이미 지하철 5·8·9호선 연장, 서울-세종간고속도로 연결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더해 GTX-D 노선 유치에 도전한다. 이 구청장은 “GTX-D 강동구 경유안이 국토교통부 계획에 반영되면 강남권 10분대, 수도권 주요 거점 30분대 이동이 가능해져 수도권 동부의 교통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