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 노동자의 실직을 막기 위해 경남 거제시가 추진 중인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이 협력업체 근로자의 정리해고를 막아냈다.
거제시는 대우조선해양 사내 하청업체인 ㈜명천 대표와 원청 및 협력사협의회 관계자, 노동자 대표, 조선하청지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고 통보자에 대한 고용을 유지하는 노사합의서 체결을 이끌어 냈다고 30일 밝혔다.
명천 근로자들은 9월부터 정리해고 철회를 내세우며 투쟁을 시작해 고공농성 등을 벌이다 지난 27일 협상타결로 농성을 마무리했다.
합의서는 김형수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장과 변광용 거제시장, 차상문 명천 대표가 각각 서명했다. 합의서에서 사측은 해고 통보자 중 사직서를 내지 않았던 3명의 근로자에 대하여 11월 임금을 지급하고 고용을 유지할 것을 약속했다. 이처럼 극적인 타협을 이룬 것은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명천은 계속된 경기불황과 코로나19사태로 인력조정 없이는 폐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4월부터 수차례 회사 자체설명회를 갖고 소속 근로자의 명예퇴직 단행을 통보했다. 이에 일부 노동자들은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와 연계해 정리해고의 부당성을 지속적으로 반발해왔다.
거제시는 이달 초 조선업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877억 원을 투입하는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을 발표했다.
변 시장은 “합의를 위해 원청과 협력사를 수시로 접촉하며 절박함과 진정성으로 임했다”며 “이번 타결은 상생을 위한 양보와 타협,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 모델의 작은 결실”이라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