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급격히 확산하자 정부가 학원, 사우나, 실내체육시설 등의 집합금지 카드를 빼들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를 ‘2+α(알파)’로 조정한다고 발표했다. 거리두기 단계를 현행 2단계로 유지하되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는 시설 운영을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비수도권은 1.5단계로 일제히 상향 조정됐다.
지난주 하루 평균 확진자는 441.6명으로 2.5단계 격상 기준을 이미 넘어섰다. 직전주(16~22일) 312.6명과 비교하면 1주일 사이 100명 이상이 늘었다. 이에 따라 전국 2.5단계 격상도 예측됐으나 정부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입게 될 경제적 타격을 고려해 고육지책을 내놓은 셈이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 단기적으로 강력한 조치를 취해 일단 확산세를 잡은 뒤 단계를 낮추는 방안이 더 낫다. 최근 적용된 거리두기 격상은 감염 확산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지난 19일부터 적용된 수도권 중심의 거리두기 1.5단계는 단계가 5단계로 쪼개지면서 오히려 방역이 느슨해졌다. 24일부터 시행된 수도권 일부 지역의 거리두기 2단계 역시 효과가 나타나려면 시간이 걸리긴 하겠지만 시행 시기가 늦은 감이 있다. 의료계에서는 확진자가 50명에서 100명으로 올라갈 때 좀 더 적극적으로 방역했어야 하는데 거리두기 단계 격상이 너무 느리고 완만했다고 지적한다. 지금이라도 획기적인 강화가 필요하다. 시민이 겪게 될 일상의 불편과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타격은 크겠지만 지금 확산세를 잡지 못하면 경제 타격 정도가 아니라 파탄이 일어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라면 하루 1000명까지 신규 확진자가 늘 것이라고 경고한다. n차 감염이 계속되면 500명이 1000명이 되는 것은 순식간이다. 중환자가 늘면서 이들을 수용할 시설은 한계에 접어들고 있다. 병상과 인력이 부족하다. 방역 당국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의료체계 붕괴다. 다른 응급환자들을 수용할 인력과 병상이 부족해지는 최악의 상황은 막아야 한다. 정부가 대응 단계를 높여도 국민 행동에 변화가 없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개개인의 시민 의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현실화된 3차 대유행은 일상 구석구석에서 꼬리를 물고 있다. 언제 어디서 폭발할지 모르는 엄중한 상황이다. 연말까지는 회식이나 모임 등을 중단하고 스스로 모든 사람과 거리를 둬야 한다. 그래야 이 위기를 넘길 수 있다.
[사설] 거리두기 단계 더 강화할 필요 있다
입력 2020-11-30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