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롯데그룹이 50대 임원을 전진배치하고 임원 수를 대폭 줄였다. 조직을 슬림화하고 젊은 인재를 앞세워 불확실해진 경영환경에 대비하겠다는 전략이다.
롯데그룹은 26일 이사회를 열고 롯데지주를 비롯해 유통·식품·화학·호텔 부문 35개 계열사의 2021년도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식품 분야를 이끌었던 식품BU(Business Unit)장이 이영호 사장에서 이영구(58) 롯데칠성음료 대표이사로 바뀌었다. 이영호 사장은 일선에서 물러나고 이영구 대표이사가 사장으로 승진해 새로 식품BU장을 맡게 됐다.
이번 인사는 예년보다 한 달가량 앞당겨졌다. 국내외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내년도 경영계획을 빠르게 확정해 실행하기 위한 차원으로 분석된다.
롯데그룹 혁신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롯데지주도 커뮤니케이션실장에 고수찬 롯데건설 부사장이 승진 보임했다. 롯데지주 준법경영실장에는 검사 출신 박은재 변호사가 부사장 직급으로 영입됐다. 이로써 최근 2년 사이 롯데지주 6개실 수장이 모두 바뀌었다.
이번 인사의 특징은 ‘세대 교체’와 ‘조직 슬림화’로 요약된다. 롯데에 따르면 최대 규모의 임원 인사를 했던 지난해 대비 승진 및 신임 임원 수가 80%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구체적인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젊은 임원들이 전진배치되면서 예년보다 큰 폭의 세대 교체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부사장으로 승진하며 롯데푸드 대표이사에 오른 이진성(51) 롯데미래전략연구소장, 황진구(52) 신임 롯데케미칼 기초소재 대표이사(부사장), 박윤기(50) 롯데칠성음료 신임 대표이사(전무), 강성현(50) 신임 롯데마트 사업부장(전무) 등이 계열사 대표를 새로 맡게 됐다. 롯데GRS 차우철(52) 신임 대표이사, 노준형(52) 롯데정보통신 신임 대표이사도 50대 초반으로 대표이사에 합류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시장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신성장 동력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낼 수 있는 젊은 경영자를 전진배치해 위기를 타개하겠다는 신동빈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