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최근 계속 발생하는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사고에 대비, 안전한 통학로를 만들기 위해 전국 최초로 도내 전체 스쿨존 실태조사에 나섰다. 조사 결과를 시설 개선에 적극 반영해 통학로에서 어린이들의 안전을 확보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도내 18개 시·군 전체 스쿨존 1029곳을 대상으로 현장실태조사를 이달 말 완료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실태조사는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통학로의 위험요소를 파악해 개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지난 9월부터 시·군 공무원, 교사, 학부모, 학생, 녹색어머니회 등으로 구성된 민관합동 현장조사반을 구성해 전 초등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등을 대상으로 어린이 통학로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현재까지 드러난 주요 문제점은 스쿨존 내 보도 안전울타리(펜스) 미설치, 보행신호등 미 작동, 보행신호 짧음, 통학로의 보도 단절, 횡단보도 위치 부적정, 횡단보도 미설치로 무단횡단 빈번 발생, 불법주차 차량 보행방해 등이다.
이번 조사에 참여하고 있는 박지은 경남녹색어머니회연합회장은 “지난해 9월 충남 아산의 스쿨존에서도 9살의 어린이가 횡단보도를 건너다 차량에 치여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며 “경남에서도 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어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학교 가는 길이 안전하고 행복해 질 수 있도록 시설 개선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는 이번 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를 토대로 시·군별 교통안전협의체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옐로카펫, 고원식 교차로·횡단보도, 바닥형 보행 신호등,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 등 지역 실정에 맞는 대책을 수립해 연차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윤인국 도 도시교통국장은 “조사를 토대로 통학로에 대한 위험요소 등 문제점들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투자 조치가 이루어질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처리 가능한 것은 즉시 개선 조치하고 중·장기적으로 조치할 사항은 연차별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