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초대 외교수장으로 확정된 것으로 알려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가 종식될 것으로 보인다. 블링컨 전 부장관의 주도하에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이란 핵합의(JCPOA) 복귀, 동맹 관계 개선 등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의 대외정책 기조가 복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강경파로 알려졌지만 오바마 시절의 ‘전략적 인내’로 복귀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블룸버그통신 등 미 언론들은 바이든 행정부의 첫 국무장관에 블링컨 전 부장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안보보좌관, 유엔 주재 미국대사에 린다 토머스 그린필드 전 국무부 아프리카담당 차관보가 내정됐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대외정책을 주도하는 세 핵심 보직이 오바마 행정부 시절 인사들로 채워진 것으로 평가된다. 공식 내정 발표는 24일쯤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블링컨 전 부장관은 외교정책 분야에서 바이든 당선인을 20년 가까이 보좌해온 ‘이너 서클’ 인사다.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 부통령 안보보좌관 등을 역임했으며 이란 핵합의를 만들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12월부터 오바마 행정부 임기가 끝나는 2017년 1월까지 국무부 부장관을 지냈다. 부장관 재직 시절 그는 강력한 압박으로 북한의 태도 변화를 꾀하는 ‘전략적 인내’ 정책을 추진했다. 또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해 대북 경고 메시지를 내놓기도 했다. 블링컨이 북한이 이미 핵 능력을 고도화한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압박 기조를 유지할지, 새로운 대북 접근법을 모색할지 주목된다.
블링컨 전 부장관이 국무장관으로 취임하면 대(對)이란 관계를 개선하는 한편 트럼프 행정부 시절 밀착했던 이스라엘과는 다소 거리를 두며 균형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중국에는 강경한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의 각종 숙청 작업으로 만신창이가 돼 있는 국무부 조직을 정상화하는 일도 숙제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