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4번째 부동산대책을 발표했지만, 집값 과열 현상은 오히려 수도권 구석구석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김포를 신규 조정대상지역에 편입한 11·19 대책도 파주 등 인근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22일 빅데이터업체 아실의 매물증감 데이터에 따르면 경기도 김포 지역 아파트 매물(매매, 전세, 월세)은 조정대상지역 편입 사실이 발표된 지난 19일 5931건에서 사흘 만에 6198건으로 4.5% 늘었다. 경기도 내에서는 매물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특히 김포의 매물은 지난 1일에는 4779건에 불과했는데, 이후 매물이 꾸준히 늘면서 3주 만에 29.6% 증가했다. 시장이 매수자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상황이다.
같은 시기 파주와 고양시 일산서구에서는 정반대 현상이 벌어졌다. 일산서구는 대책이 발표된 19일 이후 사흘간 매물이 2775건에서 2664건으로 4.0% 줄었다. 전체 거래량이 적었던 가평군(140건→130건)에 이어 감소세가 가장 가팔랐다. 파주도 이 기간 매물이 2438건에서 2364건으로 줄었다. 파주 매물은 지난 1일에는 2909건에 달했는데 한 달 사이 18.8%나 줄었다.
시장에서는 규제로 김포 부동산 시장의 매력이 떨어지면서 급매물이 쌓이기 시작했고, 반면 여전히 비규제지역으로 남은 파주는 반사효과를 얻어 매물 잠김이 시작된 것으로 분석했다. 이런 현상이 11·19 대책이 발표되기 전인 10월부터 심화한 것은 6·17 대책 발표 후 과열되기 시작한 김포 부동산 시장에 정부가 곧 손을 댈 것이라는 우려가 이미 지난달 최고조에 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번 조치로 결국 수도권 대부분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에 편입된 셈이지만 부동산 시장의 혼란을 막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에도 전세난이 관건이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김포에 집을 산 사람들은 서울 생활권이 많은데, 거기보다 더 싼 곳이 없으므로 여건에 맞춰 간 경우가 많다”며 “내년 봄 이사철까지 전셋값이 안 내리면 실수요자들이 매물을 쏟아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