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마나 ‘반쪽’ 거리두기에 가짜뉴스까지… 시민들 혼란

입력 2020-11-20 00:07
사회적 거리두기가 1.5단계로 격상된 19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선별진료소가 검사를 받기 위한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가 1.5단계로 강화된 19일 수도권 시민들은 거리두기를 2단계로 즉각 격상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전파가 일상 소모임 단위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개개인에게 경각심을 심어주지 않으면 ‘겨울 대유행’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공감대가 바탕에 깔린 것이다.

이날 오전 6시30분쯤 서울 성동구 왕십리역에서 만난 직장인 안모(38)씨는 거리두기 1단계와 1.5단계 차이를 체감하기 어렵다고 털어놨다. 그는 “길거리 아무 사람이나 붙잡고 1.5단계 세부 내용이 뭐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제대로 대답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실상 ‘소수점식’ 거리두기는 말장난 같다”며 “애매한 거리두기 구분으로 시민들의 방역 불감증만 더 키우는 것 같다”고 씁쓸해했다.

40대 직장인 A씨는 정부의 늑장 방역을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일요일이 아닌 주중에 이례적으로 거리두기 1.5단계 격상 발표를 했다는 것 자체가 이미 격상 타이밍을 많이 놓쳤음을 드러낸 꼴”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정부는 정말 거리두기 1.5단계에서 식당이나 야구장 내 마스크 착용 등 방역이 잘 이뤄질 수 있다고 장담하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힐난했다.

서울 성북구에 사는 고3 장모(19)양은 이날부터 학교·학원 등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수능 특별방역기간’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이보다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편이 일상 감염 차단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그는 “수능보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걱정이 더 앞선다”고 한숨을 쉬었다.

코로나19로 매출 하락에 시달리던 자영업자 사이에서도 보다 강화된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헬스장을 운영하는 김모(55·여)씨는 “확실한 정책 신호를 보내주는 것이 장사하는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예컨대 1.5단계에서 헬스장은 인원이 제한되고, 백화점은 아무런 제한이 없는 등 기준부터 모호하니 불만만 쌓이게 된다”고 토로했다.

대학로에서 코인노래방을 운영하는 경모(56)씨 역시 “거리두기를 2단계로 올리는 것에 동의한다”면서도 “다만 2단계 이상부터 영업에 문제가 생기는 술집이나 유흥업소 특성을 제대로 고려해 달라”고 호소했다. 오후 9시부터 무작정 문을 닫거나 배달·포장만 허용할 것이 아니라 피크타임에 1~2시간만이라도 인원 제한으로 운영할 수 있게 숨통을 터 달라는 의미다.

경찰은 이날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유포에 대해 엄정 대응 계획을 밝혔다. 전날 SNS상에는 ‘21시 기준으로 확진자가 500명대까지 늘어났다’는 가짜뉴스가 빠르게 확산된 바 있다. 경찰 관계자는 “생산자와 유포자를 추적해 사법처리할 것”이라며 “허위사실 유포 발견 시 경찰 사이버범죄 신고 시스템이나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에 신고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지웅 정현수 기자 woong@kmib.co.kr